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광고1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6. 30. 22:20
반응형

결론)

간단히 말해, 부사는 문장에 더 많은 정보와 디테일을 추가해 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부사는 문장에서 동사, 형용사, 다른 부사 또는 문장 전체를 수식하여 의미를 더 풍부하게 해주는 말입니다. 쉽게 말해, '어떻게', '언제', '어디서', '얼마나' 와 같이 동작이나 상태를 더 자세히 설명해 주는 역할을 해요.

 

 

부사의 역할과 쉬운 예시

부사의 다양한 역할을 한국어 예시와 함께 살펴볼게요.

  1. 동사를 수식 (가장 흔한 경우):
    • "나는 빨리 달린다."
      • 여기서 '빨리'는 '달린다(동사)'는 행동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설명해 줍니다.
    • "아이가 크게 웃었다."
      • '크게'는 '웃었다(동사)'는 행동의 정도를 나타냅니다.
  2. 형용사를 수식:
    • "날씨가 매우 덥다."
      • '매우'는 '덥다(형용사)'는 상태의 정도를 강조합니다.
    • "그는 정말 착한 사람이다."
      • '정말'은 '착한(형용사)'이라는 성질을 더 강조해 줍니다.
  3. 다른 부사를 수식:
    • "그녀는 아주 천천히 걸었다."
      • '아주'는 '천천히(다른 부사)'의 정도를 다시 한번 설명해 줍니다. '천천히'는 '걸었다(동사)'를 수식하죠.
    • "그는 너무 빨리 달린다."
      • '너무'는 '빨리(다른 부사)'의 정도를 과장합니다.
  4. 문장 전체를 수식:
    • "다행히, 비가 그쳤다."
      • '다행히'는 비가 그친 상황 전체에 대한 화자의 판단이나 감정을 나타냅니다.
    • "솔직히, 그 생각은 좀 아닌 것 같아요."
      • '솔직히'는 뒤에 오는 문장 내용 전체에 대해 화자가 어떤 태도로 말하는지를 보여줍니다.

간단히 말해, 부사는 문장에 더 많은 정보와 디테일을 추가해 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6. 30. 12:17
반응형

단통법을 아주아주 쉽게, 예를 들어서 설명해 드릴게요.

 

 

제목: '폰 가격표'를 투명하게 만든 법! (단통법 이야기)

자, 예전에 휴대폰을 사러 갔다고 상상해 보세요.

[단통법이 없던 시절 (옛날 이야기)]

여러분은 휴대폰 가게에 들어섰어요. "사장님, 저 최신 아이폰(또는 갤럭시) 사고 싶어요!" "오! 잘 오셨습니다, 손님! 자, 이 폰은 원래 100만원인데요..."

  • 어떤 사람은: "제가 이 동네에서 폰 제일 많이 사는 사람인데, 싸게 좀 해주세요!" 하고 흥정을 잘해서 50만원에 샀어요.
  • 또 어떤 사람은: "저는 이런 거 잘 몰라서요..." 하고 그냥 말하는 대로 듣고 80만원에 샀어요.
  • 어떤 사람은: 옆 가게에 갔더니, "오늘은 특별히 30만원 할인해 드려요!" 해서 70만원에 샀어요.

문제점: 똑같은 폰인데, 누구는 싸게 사고 누구는 비싸게 사는 거예요. 마치 시장에서 배추 살 때, 누구는 5천원에 사고 누구는 1만원에 사는 것처럼 말이죠. 정보가 없거나 흥정을 못 하는 사람은 항상 손해를 보는 기분이었어요. 그리고 통신사들은 서로 고객을 뺏어오려고 엄청나게 많은 돈을 써서 보조금 경쟁을 했고요.

 

 

[단통법 시행 후 (지금까지의 이야기)]

정부가 생각했어요. "아니, 똑같은 휴대폰인데 왜 이렇게 가격이 들쑥날쑥해? 사람들이 속는 것 같잖아!" 그래서 '단통법'이라는 법을 만들었어요.

단통법의 목표는 딱 하나예요.

"폰 살 때 '숨겨진 할인' 없애고, 누가 사도 똑같은 '할인 금액'을 투명하게 보여줘!"

이제 다시 휴대폰 가게에 갔다고 해볼게요.

"사장님, 저 최신 아이폰(또는 갤럭시) 사고 싶어요!" "네, 손님! 이 폰은 원래 100만원인데요, 지금 저희 통신사(SKT, KT, LG U+ 중 하나)에서 20만원 할인(공시지원금)해 드리고 있어요! 그리고 저희 가게에서도 추가로 만약 할인이 있다면 최대 3만원(공시지원금의 15%)까지 더 할인해 드릴 수 있습니다."

  • 이제 모든 사람이: "아, 이 폰은 통신사에서 무조건 20만원 할인해 주는구나. 그리고 가게에서 최대 3만원 더 깎아주네!" 하고 똑같은 정보를 알게 돼요.
  • 결과적으로: 흥정을 잘하든 못하든, 누가 사든 77만원(100만원 - 20만원 - 3만원)이라는 비슷한 가격으로 사게 됩니다.

[단통법의 핵심 요약]

  1. 할인 금액 공개: "통신사에서 이 폰은 얼마 깎아줍니다!" 하고 모든 사람이 볼 수 있게 딱 공개하게 했어요. (이게 바로 '공시지원금'이에요.)
  2. 누구나 똑같이: 내가 사든, 내 옆집 아저씨가 사든, 똑같은 조건이면 똑같은 할인 금액을 받게 했어요.
  3. 선택약정할인: "나는 폰 할인은 필요 없고, 그냥 요금만 싸게 쓰고 싶어!" 하는 사람들을 위해, 폰 할인을 안 받는 대신 매달 내는 통신 요금을 25% 깎아주는 제도도 만들었죠.

 

[그래서 어땠나요?]

  • 좋은 점: 이제 폰 가격 때문에 내가 '호갱(호구+고객)'이 되는 건 아닌가 하는 걱정은 줄었어요. 누구에게나 똑같은 정보가 주어지니까요.
  • 아쉬운 점: 하지만 '누구나 똑같이' 되면서, 예전처럼 대란 때 엄청 싸게 살 수 있었던 '특가' 기회가 거의 사라졌어요. 오히려 전반적인 폰 구매 가격이 더 비싸진 것 같다는 불만도 많았죠.

[현재 상황]

이런 이유 때문에 단통법은 논란이 많았고, 이제 곧 없앨 예정이에요! 다시 통신사들이 고객을 끌어오기 위해 치열하게 지원금 경쟁을 하도록 만들어서, 소비자들이 더 싸게 폰을 살 수 있도록 하겠다는 거죠.

쉽게 말해, 단통법은 휴대폰 가격표를 '불투명한 흥정판'에서 '모두가 보는 투명한 정찰제'로 바꾸려고 했던 법이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6. 27. 21:35
반응형

한자에서 부수(部首)는 한자의 의미를 상징하는 한 부분으로, 사전에 한자를 배열하고 찾을 때 사용하기 위해 고안된 분류 체계입니다. 쉽게 말해, 한자를 그룹화하고 정리하는 '머리글자' 또는 '분류 기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부수의 주요 역할과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한자 찾기의 기준: 현대 한자 사전은 대부분 214개의 부수를 기준으로 한자를 분류합니다. 마치 영어 사전을 알파벳 순서로 찾듯이, 한자 사전에서는 특정 한자에 어떤 부수가 포함되어 있는지 파악하고 해당 부수 아래에서 찾으시면 됩니다.

 

  • 의미 유추의 힌트: 대부분의 부수는 해당 한자의 의미 범주를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氵 (물 수)' 부수가 들어간 한자(江, 河, 洗 등)는 물과 관련된 의미를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亻 (사람 인)' 부수가 들어간 한자(他, 仁, 仙 등)는 사람과 관련된 의미를 가집니다. 이를 통해 모르는 한자의 대략적인 의미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 한자의 구성 요소: 부수는 한자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 하나입니다. 한자는 부수 외에 소리를 나타내는 부분 등 다양한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형태 변화: 부수는 독립적으로 쓰일 때와 다른 한자와 결합할 때 형태가 변형될 수 있습니다. (예: 人 → 亻)

 

  • 위치: 부수는 한자의 왼쪽(변), 오른쪽(방), 위(머리), 아래(발), 왼쪽과 아래에 걸친 부분(받침), 위쪽과 왼쪽에 걸친 부분(엄), 글자를 둘러싸는 부분(에운담/몸) 등 다양한 위치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제부수: 때로는 한자 자체가 부수가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 馬(말 마), 高(높을 고))

부수는 한자의 복잡한 체계를 이해하고 학습하는 데 매우 중요한 도구이며, 한자를 체계적으로 익히는 데 필수적인 개념입니다.

 

 

※ 참고로 위치에 대해 좀 더 정리한다면,

 

한자에서 부수는 위치에 따라 불리는 명칭이 다르고, 그에 따라 한자의 모양도 조금씩 달라지기도 합니다. 주요 위치별 명칭과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1. 변 (邊) - 왼쪽에 오는 부수

  • 설명: 한자의 왼쪽에 위치하는 부수를 '변'이라고 합니다.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형태입니다.
  • 예시 및 읽기:
    • 氵 (삼수변): 물, 액체와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 例: (강 강), (바다 해), (씻을 세)
    • 亻 (사람인변): 사람, 인격과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 例: (다를 타), (쉴 휴), (따를 종)
    • 扌 (재방변): 손, 행동과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 例: (칠 타), (가질 지), (부를 초)
    • 木 (나무목변): 나무, 식물과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 例: (수풀 림), (마을 촌), (기둥 주)
    • 口 (입구변): 입, 말과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실제로는 '입구' 형태 그대로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 例: (먹을 흘), (부를 규)
    • 月 (육달월변): 신체, 몸의 일부와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肉(고기 육) 부수가 변형된 형태)
      • 例: (간 간), (허파 폐), (다리 각)
    • 艹 (초두머리): 풀, 식물과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주로 위에 오지만, '변'의 역할을 할 때도 있습니다.)
      • 例: (꽃 화), (풀 초)
    • 礻 (보일시변): 신, 제사, 종교와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 例: (귀신 신), (모일 사), (빌 축)

2. 방 (旁) - 오른쪽에 오는 부수

  • 설명: 한자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부수를 '방'이라고 합니다.
  • 예시 및 읽기:
    • 阝 (우부방): 고을, 마을과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邑(고을 읍) 부수가 변형된 형태)
      • 例: (도읍 도), (시골 향), (고을 군)
    • 刂 (선칼도방): 칼, 도구, 자르다와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刀(칼 도) 부수가 변형된 형태)
      • 例: (이로울 리), (새길 각), (나눌 할)
    • 攵 (등글월문): 치다, 때리다, 행동과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 例: (가르칠 교), (고칠 개), (패할 패)
    • 欠 (하품흠방): 하품, 입, 부족하다와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 例: (노래 가), (기쁠 환)
    • 頁 (머리혈방): 머리, 얼굴, 머리를 움직이는 행위와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 例: (머리 두), (낯 안), (원할 원)

3. 머리 (頭) - 위에 오는 부수

  • 설명: 한자의 윗부분에 위치하는 부수를 '머리'라고 합니다.
  • 예시 및 읽기:
    • 艹 (초두머리): 풀, 식물과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 例: (연꽃 하), (차 다), (빛날 화)
    • 宀 (갓머리): 집, 건물, 지붕과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 例: (편안 안), (집 가), (방 실)
    • 雨 (비우머리): 비, 날씨와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 例: (눈 설), (우레 뢰), (구름 운)
    • 竹 (대죽머리): 대나무, 악기, 필기도구와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 例: (붓 필), (통 통), (마디 절)
    • 山 (뫼산머리): 산, 언덕과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 例: (바위 암), (봉우리 봉)
    • 示 (보일시): 신, 제사, 종교와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원형 그대로 쓰임)
      • 例: (제사 제), (금할 금)

4. 발 (足) - 아래에 오는 부수

  • 설명: 한자의 아랫부분에 위치하는 부수를 '발'이라고 합니다.
  • 예시 및 읽기:
    • 心 (마음심발): 마음, 감정, 생각과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원래 모양에서 변형된 형태)
      • 例: (충성 충), (생각할 사), (그리워할 모)
    • 皿 (그릇명발): 그릇, 용기와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 例: (성할 성), (더할 익)
    • 儿 (어진사람인발): 걷다, 발, 사람과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 例: (으뜸 원), (형 형)
    • 止 (그칠지발): 멈추다, 발, 발걸음과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 例: (바를 정), (걸음 보)

5. 엄 (厂嚴) / 엄 (广엄) - 위와 왼쪽에 걸친 부수

  • 설명: 한자의 윗부분과 왼쪽을 감싸는 형태로 위치하는 부수입니다.
  • 예시 및 읽기:
    • 厂 (기슭 엄): 언덕, 굴, 바위와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 例: (근원 원), (두터울 후)
    • 广 (집 엄): 집, 건물, 넓다와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안쪽 공간을 강조)
      • 例: (넓을 광), (가게 점), (관청 청)

6. 받침 (脚) - 왼쪽과 아래에 걸친 부수

  • 설명: 한자의 왼쪽과 아랫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위치하는 부수입니다.
  • 예시 및 읽기:
    • 辶 (책받침): 가다, 길, 움직임과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 例: (보낼 송), (가까울 근), (길 도)
    • 廴 (민책받침): 길게 걷다, 뻗다와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 例: (늘일 연), (세울 건)

7. 에운담 / 몸 (圍部) - 글자를 둘러싸는 부수

  • 설명: 한자의 전체 또는 대부분을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하는 부수입니다.
  • 예시 및 읽기:
    • 囗 (큰입구몸): 둘러싸다, 국경, 구역과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 例: (나라 국), (그림 도), (둘레 위)
    • 門 (문문): 문, 출입구와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다른 한자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음)
      • 例: (열 개), (닫을 폐)
    • 行 (다닐행): 길, 가다, 행하다와 관련된 한자에 사용됩니다. (원래는 부수가 아니었으나, 획수가 복잡한 한자를 분류하기 위해 부수처럼 쓰임)
      • 例: (재주 술), (찌를 충)

8. 제부수 (除部首) - 한자 자체가 부수인 경우

  • 설명: 한자 그 자체가 독립적인 부수로 사용되는 경우입니다. 부수의 위치와 상관없이 해당 한자 자체가 분류 기준이 됩니다.
  • 예시:
    • (말 마), (새 조), (물고기 어), (용 룡), (거북 귀), (스스로 자), (볼 견) 등 많은 글자가 해당됩니다.

이처럼 부수는 한자의 형태와 의미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한자 학습의 중요한 첫걸음이 됩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6. 20. 14:57
반응형

고소와 고발의 차이를 아주 쉽게 예를 들어 설명해드릴게요.

 

📌 고소(告訴)

  • : 알릴 고
  • : 하소연할 소, 호소할 소
  • : 어떤 사람이 자신에게 해를 끼쳤다고 직접 말하면서 처벌을 요구하는 것

 

 

📌 고발(告發)

  • : 알릴 고
  • : 드러낼 발, 발할 발
  • : 범죄 사실을 알리고 수사 기관에 드러내는 것 (제3자가 알림)

 

 

💬 정리

구분한자의미 요약
고소 告訴 피해자가 직접 하소연함
고발 告發 제3자가 범죄를 알림

 

📌 차이 요약

  • 고소: 피해자가 직접 경찰이나 검찰에 처벌해달라고 하는 것
  • 고발: 피해자가 아닌 제3자가 "이 사람 처벌해 주세요"라고 알리는 것

 

 

🎬 예시 상황

고소

A씨가 B씨에게 맞았어요.
A씨는 "제가 맞았어요! B씨를 처벌해 주세요!" 하고 경찰에 신고했어요.

👉 이게 바로 고소예요.
👉 피해자인 A씨가 직접 가해자인 B씨를 처벌해 달라고 한 거예요.

 

 

고발

C씨는 뉴스에서 B씨가 A씨를 때린 걸 봤어요.
C씨는 "저는 피해자는 아니지만, 저런 건 그냥 넘어가면 안 되죠!" 하고 경찰에 신고했어요.

👉 이게 고발이에요.
👉 C씨는 피해자가 아니지만, 불법행위를 알리고 처벌을 요청한 거죠.

 

 

🔍 한 줄 정리

  • 고소: 피해자가 직접 처벌 요청
  • 고발: 제3자가 범죄 사실을 알리고 처벌 요청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6. 19. 21:43
반응형

크롬에서 일부 사이트가 자동으로 북마크에 등록되는 현상은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주로 다음 두 가지 경우가 흔하며, 각각에 대한 해결 방법을 안내해 드릴게요.

1. "사이트 추천 광고" 기능으로 인한 자동 북마크 추가:

크롬에는 사용자의 탐색 기록과 관심사에 따라 사이트를 추천하고, 때로는 해당 사이트를 북마크 형태로 자동 추가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을 끄면 원치 않는 자동 북마크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해결 방법:
    1. 크롬 브라우저를 엽니다.
    2. 오른쪽 상단의 점 세 개 메뉴(더보기)를 클릭하고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3. 왼쪽 메뉴에서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을 클릭합니다.
    4. "광고 개인 정보 보호"를 클릭합니다.
    5. "사이트 추천 광고" 항목을 찾아서 "OFF"로 변경합니다. (또는 '사이트 추천 광고 설정'으로 들어가서 첫 번째 항목을 비활성화합니다.)

2. Google 계정 동기화 또는 확장 프로그램으로 인한 자동 북마크 추가:

  • Google 계정 동기화: 크롬에서 Google 계정으로 로그인하고 동기화 기능을 사용하면 북마크, 비밀번호, 방문 기록 등이 자동으로 동기화됩니다. 만약 다른 기기에서 북마크를 추가했는데 해당 북마크가 모든 기기에 동기화되는 것이라면, 이는 정상적인 동작입니다. 특정 기기에서만 북마크를 관리하고 싶다면 동기화를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해결 방법:
      1. 크롬 브라우저를 엽니다.
      2. 오른쪽 상단의 점 세 개 메뉴(더보기)를 클릭하고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3. 왼쪽 메뉴에서 "나와 Google의 관계" (또는 '동기화 및 Google 서비스')를 클릭합니다.
      4. "동기화 관리"를 선택합니다.
      5. "모두 동기화"를 끄고, "북마크" 항목만 비활성화하거나, 아예 동기화 자체를 '사용 중지'할 수 있습니다. 동기화를 사용 중지하면 해당 기기에서 북마크가 제거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 악성 확장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 특정 확장 프로그램이나 설치된 소프트웨어(예: SmartBridge 등)가 의도치 않게 북마크를 추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해결 방법:
      1. 확장 프로그램 확인 및 삭제:
        • 크롬 주소창에 chrome://extensions/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릅니다.
        • 목록에서 출처가 불분명하거나 최근 설치된 확장 프로그램을 찾아 비활성화하거나 삭제합니다.
      2. 제어판에서 의심스러운 프로그램 제거 (Windows 기준):
        • 제어판 > 프로그램 및 기능 (또는 프로그램 추가/제거)으로 이동하여 의심스러운 프로그램, 특히 SmartBridge와 같은 광고성 프로그램을 찾아 제거합니다.
      3. 크롬 설정 초기화: 위의 방법으로 해결되지 않는 경우, 크롬 설정을 기본값으로 초기화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방문 기록, 자동 로그인 설정 등 설정된 옵션이 제거되니 유의하세요.
        • 크롬 설정 > 왼쪽 메뉴에서 "설정 초기화" (또는 '고급' > '재설정 및 정리하기') > "설정 초기화"를 클릭합니다.

추가 팁:

  • 주소 표시줄 자동 완성: 주소 표시줄에 이전에 방문했던 사이트나 북마크된 사이트가 자동으로 뜨는 것을 원치 않는다면, '검색어 및 URL 자동 완성'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크롬 설정 > '나와 Google의 관계' (또는 '동기화 및 Google 서비스') > '검색어 및 URL 자동 완성'을 비활성화합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6. 18. 15:16
반응형

예시 1
강의평가 결과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강의 방식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학생들의 제안을 적극 반영하여 수업 내용을 보다 체계적으로 구성하고, 소통 중심의 강의로 개선해 나가겠습니다. 다음 학기에도 더욱 책임감 있는 자세로 강의에 임하겠습니다.

 

 

예시 2
학생들이 제시한 의견을 바탕으로 수업 자료의 구체성과 실습 예시를 보완할 계획입니다. 수업의 흐름과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교수법도 지속적으로 연구하겠습니다. 다음 학기에도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강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예시 3
이번 강의평가를 통해 강의 전반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과 함께 몇 가지 개선점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를 반영하여 강의 내용 구성과 피드백 방식에 있어 보다 체계적인 접근을 시도하겠습니다. 앞으로도 학생 중심의 강의를 위해 노력하며, 다음 학기에도 성실히 강의하겠습니다.

 

예시 4

강의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긍정적인 피드백과 더불어 개선이 필요한 부분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수업 자료와 피드백 방식을 보완하고, 학생과의 소통을 더욱 강화하여 수업의 질을 높이겠습니다. 다음 학기에도 성실하고 열정적인 자세로 강의에 임하겠습니다.

 

예시 5

강의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강의 내용 전달 방식과 소통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을 확인하였으며, 일부 학생들이 제시한 수업 자료의 다양성과 피드백 시간의 확대 요청을 반영하여 다음 학기에는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보완하고, 과제에 대한 개별 피드백 시간을 추가로 확보할 예정입니다. 또한 학생 참여를 높이기 위한 토론 및 질의응답 시간을 강화하여 수업의 질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겠습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6. 16. 22:07
반응형

무료 바우처를 단어별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무료 (無料): 이 단어는 "돈이나 대가를 지불하지 않는" 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즉, 어떤 것을 얻거나 이용할 때 비용이 전혀 들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영어로는 "free of charge" 또는 "gratis"에 해당합니다.
  • 바우처 (Voucher): 이 단어는 "상품, 서비스, 할인 등을 받을 수 있는 교환권, 할인권, 증명서" 등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종이나 전자 형태로 발행되며, 특정 조건 하에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합니다. 예를 들어, 식당 할인 바우처, 여행 바우처, 상품권 형태의 바우처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무료 바우처는 "어떤 상품이나 서비스를 돈을 내지 않고 이용하거나 얻을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증명서 또는 교환권"을 의미합니다.

 

무료 바우처무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바우처 자체가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권리인데, 여기에 '무료'라는 단어가 붙었으니 해당 서비스나 상품을 비용 지불 없이 이용할 수 있다는 뜻이 되는 거죠.

예를 들어, "커피 무료 바우처"는 커피를 돈 내지 않고 마실 수 있는 무료 서비스를 의미하고, "피트니스 센터 1회 무료 바우처"는 피트니스 센터를 한 번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무료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6. 15. 12:21
반응형

숫자를 1보다 작은 수로 나누면 오히려 숫자가 더 커지는 현상은 처음에는 헷갈릴 수 있습니다. 그 원리를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나누기는 '그룹화' 혹은 '포함 관계'와 같아요

나누기는 단순히 숫자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어떤 숫자 안에 특정 양이 몇 번 들어가는지를 알아보는 연산입니다.

예를 들어, 10을 2로 나눈다는 것은 "10 안에 2가 몇 번 들어가?"라는 질문과 같습니다. 10은 2로 5번 묶을 수 있으니 답은 5가 되죠. 이 경우에는 나누면 숫자가 작아집니다.

 

 

1/2로 나눈다는 것의 의미

이제 100을 1/2로 나눈다고 생각해 봅시다.

 

이것은 "100 안에 1/2이 몇 번 들어가?"라는 질문과 같습니다.

 

피자 한 조각(1)이 있다고 생각해 보세요. 이 한 조각 안에 **반 조각(1/2)**은 몇 번 들어갈까요? 당연히 두 번 들어갑니다.

마찬가지로, 100이라는 전체 안에 1/2이라는 작은 조각은 아주 많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정확히는 1의 두 배만큼 들어가므로, 100의 두 배인 200번 들어갈 수 있게 되는 것이죠.

 

 

이해를 돕는 비유

  • 빵 나누기: 빵 10개를 2명에게 똑같이 나눠주면 1명당 5개씩 받습니다. (10 ÷ 2 = 5)
  • 작은 조각으로 나누기: 빵 10개를 1/2 조각(반 조각)으로 자르면 총 몇 조각이 될까요? 빵 하나당 2조각이 나오므로, 빵 10개는 총 20조각(10 ÷ 1/2 = 20)이 됩니다.

결국, 나누는 숫자가 1보다 작으면 나눔을 당하는 숫자 안에 그 작은 단위가 훨씬 더 많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더 큰 숫자가 되는 것입니다.

 

반응형

'수학-기초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수란?  (1) 2023.10.18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