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광고1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6. 5. 07:52
반응형

TCP와 UDP는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두 가지 중요한 통신 방식입니다. 둘 다 데이터를 보내는 역할을 하지만, 방식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목표로 합니다. 마치 전화 통화처럼,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서로 연결을 확인하고, 데이터를 주고받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잘 도착했는지 확인하는 방식입니다.

✨ 주요 특징

  • 연결 지향: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연결을 설정합니다. (3-Way Handshake라는 과정을 통해 연결을 맺고, 4-Way Handshake를 통해 연결을 끊습니다.)
  • 신뢰성 보장: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순서가 바뀌지 않도록 보장합니다. 만약 데이터가 손실되면 다시 보내달라고 요청해서 꼭 모든 데이터가 도착하도록 합니다.
  • 흐름 제어 및 혼잡 제어: 네트워크 상황에 맞춰 데이터 전송 속도를 조절해서, 너무 많은 데이터를 한꺼번에 보내서 네트워크가 마비되는 것을 막습니다.
  • 1:1 통신: 주로 한 컴퓨터와 다른 한 컴퓨터가 통신할 때 사용됩니다.

➕ 장점

  • 데이터 손실 없음: 중요한 데이터가 빠짐없이 전달되어야 할 때 적합합니다.
  • 순서 보장: 보낸 순서대로 데이터가 도착합니다.

➖ 단점

  • 속도 느림: 연결 설정, 확인, 재전송 등의 과정 때문에 UDP보다 속도가 느립니다.
  • 오버헤드: 데이터 전송 외에도 많은 제어 정보를 주고받아야 하므로 자원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 사용 예시

  • 웹 브라우징 (HTTP/HTTPS): 웹페이지를 볼 때 모든 이미지와 텍스트가 정확하게 도착해야 하므로 TCP를 사용합니다.
  • 파일 전송 (FTP): 파일의 내용이 손상되면 안 되므로 TCP를 사용합니다.
  • 이메일 (SMTP/POP3/IMAP): 이메일 내용이 빠지거나 바뀌면 안 되므로 TCP를 사용합니다.

 

 

⚡ UDP (User Datagram Protocol)

UDP는 "빠른 속도"와 "단순함"을 목표로 합니다. 마치 편지를 보내는 것처럼, 일단 데이터를 보내고 상대방이 받았는지 확인하지 않습니다. 중간에 편지가 사라져도 다시 보내달라고 요청하지 않죠.

✨ 주요 특징

  • 비연결 지향: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별도의 연결 설정 과정이 없습니다. 바로 데이터를 보냅니다.
  • 신뢰성 없음: 데이터 손실이나 순서 변경을 신경 쓰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유실되어도 재전송하지 않습니다.
  • 오류 제어 없음: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확인하거나 수정하는 기능이 없습니다.
  • 빠른 속도: 연결 설정이나 확인 절차가 없어서 TCP보다 훨씬 빠릅니다.
  • 1:1, 1:N (멀티캐스트), N:N (브로드캐스트) 통신 가능: 여러 대상에게 동시에 데이터를 보낼 수 있습니다.

➕ 장점

  • 빠른 전송 속도: 실시간성이 중요한 서비스에 유리합니다.
  • 낮은 오버헤드: 제어 정보가 적어 네트워크 자원을 적게 사용합니다.

➖ 단점

  • 데이터 손실 가능성: 중요한 데이터가 유실될 수 있습니다.
  • 순서 보장 안 됨: 보낸 순서와 다르게 데이터가 도착할 수 있습니다.

🌐 사용 예시

  • 온라인 게임: 실시간으로 움직임을 주고받아야 하므로 약간의 데이터 손실보다 빠른 반응 속도가 중요합니다.
  • 실시간 스트리밍 (음악/영상): 영상이나 음성 데이터가 약간 끊겨도 전체 흐름에는 큰 문제가 없으므로 빠른 전송이 중요합니다.
  • 음성 통화 (VoIP): 실시간 대화가 중요하므로 UDP를 사용합니다.
  • DNS (Domain Name System):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빠르게 변환해야 하므로 UDP를 사용합니다.

 

 

💡 요약 및 비교

특징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UDP (User Datagram Protocol)
연결 방식 연결 지향 (데이터 전송 전 연결 설정) 비연결 지향 (연결 설정 없이 바로 전송)
신뢰성 높음 (데이터 손실 및 순서 보장) 낮음 (데이터 손실 및 순서 보장 안 함)
속도 느림 빠름
제어 기능 흐름 제어, 혼잡 제어, 오류 제어 없음
통신 방식 1:1 통신 1:1, 1:N, N:N 통신
사용 예시 웹, 파일 전송, 이메일 온라인 게임, 스트리밍, 음성 통화

쉽게 말해, TCP는 "정확하고 확실하게" 보내는 것이 중요할 때 사용하고, UDP는 "빠르고 끊기지 않게" 보내는 것이 중요할 때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6. 5. 02:39
반응형

결론부터 정리하면)

컴퓨팅이란 간단히 말하면, '실제로 계산하는것'을 의미한다.

 

✅ 컴퓨터 (Computer)

  • 기계, 장치를 말해요.
  • 우리가 사용하는 노트북, 데스크탑, 스마트폰 같은 물건이에요.
  • 예:
  • "나는 새 컴퓨터를 샀어."
    → 기계를 샀다는 뜻이에요.

 

✅ 컴퓨팅 (Computing)

  • 컴퓨터를 사용하는 행위나 과정이에요.
  • 정보를 계산하거나 처리하는 행동이나 활동을 말해요.
  • 예:
  • "클라우드 컴퓨팅이 중요해지고 있어."
    → 컴퓨터를 이용한 처리 활동이 중요하다는 뜻이에요.

 

🔍 비유로 쉽게!

  • 컴퓨터자동차처럼 "도구"예요.
  • 컴퓨팅운전하는 것처럼 "행동"이에요.

 

요약 정리

단어뜻예시 문장
컴퓨터 기계, 장치 이 컴퓨터는 너무 느려요.
컴퓨팅 컴퓨터로 계산/처리하는 활동 컴퓨팅 기술이 날로 발전하고 있어요.

 

✅ 1. 컴퓨터 (Computer) 더 자세히

  • 컴퓨터는 전기를 사용하는 기계예요.
  • 우리가 주는 명령(프로그램)을 받아서, 계산하거나 정보를 처리해줘요.

✔️ 예시

  • 노트북: 집에서 쓰는 작은 컴퓨터
  • 데스크탑: 회사나 PC방에서 많이 보는 큰 컴퓨터
  • 스마트폰: 작은 컴퓨터처럼 앱을 실행하고 계산해요
  • 서버: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컴퓨터 (인터넷 뒷단에서 일해요)

 

✅ 2. 컴퓨팅 (Computing) 더 자세히

  • 컴퓨팅은 컴퓨터가 하는 일 전체를 말해요.
  • 즉, 정보를 저장하고, 계산하고, 처리하고, 전송하는 활동을 전부 포함해요.
  • 컴퓨터가 "생각하는 일"이라고 이해해도 좋아요. (물론 진짜 생각은 아니지만, 비슷하게 행동하니까요.)

✔️ 쉽게 말하면:

  • 컴퓨터: 몸 (기계)
  • 컴퓨팅: 생각하고 일하는 행동 (활동)

 

✅ 실생활 비유

상황컴퓨터컴퓨팅
당신이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편집한다 스마트폰이 컴퓨터 편집하는 그 행위가 컴퓨팅
회사 서버가 수천 명의 로그인 정보를 관리한다 서버 컴퓨터 로그인 처리, 저장, 검색하는 게 컴퓨팅
학생이 노트북으로 코딩한다 노트북 = 컴퓨터 코딩해서 프로그램을 돌리는 게 컴퓨팅
 

 

✅ 관련 용어 (요즘 자주 쓰이는 컴퓨팅들)

용어설명
클라우드 컴퓨팅 인터넷에 있는 서버 컴퓨터를 빌려서 처리하는 것 (예: 구글 드라이브)
엣지 컴퓨팅 사용자의 가까운 곳(예: 기기 근처)에서 빠르게 처리하는 것
양자 컴퓨팅 미래 기술. 아주 복잡한 문제를 빠르게 푸는 새로운 방식의 컴퓨팅
분산 컴퓨팅 여러 컴퓨터가 나눠서 동시에 계산하는 것

 

✅ 다시 간단 정리하면:

컴퓨팅 = 컴퓨터가 계산하거나 정보 처리하는 활동 전체


✅ 꼭 숫자 계산만 뜻할까?

아니요!
예전에는 "컴퓨팅"이 정말로 숫자 계산 중심이었어요.
하지만 지금은 더 넓은 의미로 써요.


✅ 컴퓨팅의 실제 예시

활동컴퓨팅일까?이유
2 + 2 계산하기 ✅ 네 숫자 계산
사진 필터 적용하기 ✅ 네 이미지 처리
게임에서 캐릭터 움직이기 ✅ 네 사용자 입력 → 처리
유튜브 영상 보기 ✅ 네 영상 데이터를 처리
엑셀에서 표 만들기 ✅ 네 데이터 계산과 표시
 

✅ 결론

  • 컴퓨팅 = 컴퓨터가 어떤 일을 실제로 “처리”하는 것
  • 꼭 숫자가 아니어도, 모든 정보 처리 행위를 포함해요.
  • 그래서 게임, 사진 편집, 인공지능, 인터넷 검색까지 다 컴퓨팅이에요.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6. 5. 02:18
반응형

💡 공산주의란?

모두가 함께 나눠 가지는 사회를 만들자는 생각이에요.

 

🏠 예를 들어볼게요:

친구 다섯 명이 함께 사는 집이 있어요. 이 친구들은 집안일, 돈 버는 일, 음식 만들기 등 모든 걸 같이 해요.

  • 누가 돈을 더 많이 벌어도
  • 누가 힘든 일을 해도
    👉 결과물은 모두 같이 나눠요.

그래서:

  • 돈도 같이 쓰고
  • 밥도 같이 먹고
  • 집도 같이 써요.

 

📜 공산주의의 핵심 아이디어

  1. 사유 재산 없음: 땅, 공장, 돈 같은 걸 개인이 가지지 않음
  2. 모두가 평등: 돈 많고 적음 없이 다 같이 일하고 다 같이 나눔
  3. 국가가 모든 걸 관리: 시장(자유 거래) 대신 국가가 경제를 운영

 

📘 한 줄 요약:

"모든 것을 함께 나누자!"
👉 이것이 공산주의의 기본 생각이에요.

 

 

 

💡 사회주의란?

모두가 좀 더 평등하게 살도록 국가가 도와주는 제도예요.
공산주의처럼 완전히 다 같이 나누는 것은 아니지만,
너무 큰 차이가 생기지 않도록 조절하는 거예요.

 

🍰 예를 들어볼게요:

케이크 하나를 나누는 상황이 있어요.

  • 자본주의는:
    "각자 잘하면 더 많이 가져가!"
    👉 잘 사는 사람은 케이크 5조각, 못 사는 사람은 1조각.
  • 공산주의는:
    "모두 똑같이 나눠!"
    👉 다 같이 3조각씩.
  • 사회주의는:
    "너무 불공평하면 안 되니까, 조정해줄게!"
    👉 잘 사는 사람은 4조각, 못 사는 사람도 2조각 받게 국가가 조절해줘요.

 

📜 사회주의의 핵심 아이디어

  1. 사유 재산은 있음 → 개인이 돈과 물건을 가질 수 있어요.
  2. 국가가 중요한 것들을 운영 → 병원, 학교, 교통, 전기 같은 건 국가가 책임지고 제공해요.
  3. 불평등을 줄이려고 노력 → 부자와 가난한 사람 차이를 세금이나 복지로 줄이려 해요.

 

📘 한 줄 요약:

"돈을 벌 수는 있지만, 너무 불공평하진 않게 하자!"
👉 이것이 사회주의의 생각이에요.

 

 

 

💡 자본주의란?

각자 열심히 일해서 번 만큼 가지는 사회예요.
국가가 많이 간섭하지 않고,
사람들이 자유롭게 돈을 벌고 쓰는 시스템이에요.

 

 

🍔 예를 들어볼게요:

햄버거 가게를 열고 싶어요.

  • 가게를 열 돈도 내가 준비하고
  • 어떤 햄버거를 팔지도 내가 정하고
  • 열심히 일해서 많이 팔면 👉 내가 많이 벌어요!

다 내 거고, 내가 잘하면 부자도 될 수 있어요.

 

 

📜 자본주의의 핵심 아이디어

  1. 사유 재산이 있음 → 땅, 건물, 회사, 돈 전부 개인이 소유 가능
  2. 자유 경쟁 → 누가 더 잘하냐에 따라 돈도 더 벌고, 성공도 더 함
  3. 국가는 최소한만 개입 → 경제는 사람들끼리 자유롭게 움직이게 함

 

 

📘 한 줄 요약:

"열심히 하면 많이 가질 수 있다!"
👉 이것이 자본주의의 생각이에요.

 

 

🧁 다시 케이크 예시:

  • 자본주의: "잘한 사람은 많이 가져가고, 못한 사람은 적게 가져가!"
  • 사회주의: "너무 차이 나면 안 되니까 국가가 좀 나눠줘!"
  • 공산주의: "모두 똑같이 나눠 먹자!"

 

 

💡 자본주의 vs 사회주의 vs 공산주의 비교표

구분자본주의사회주의공산주의
재산 개인이 가짐 (사유 재산 O) 개인도 가질 수 있고, 국가가 일부 운영 모두가 같이 가짐 (사유 재산 X)
경제 운영 시장(자유 거래) 중심 시장 + 국가의 조절 국가가 모든 걸 운영
평등 정도 평등보다는 자유 중시 (불평등 있음) 어느 정도 평등하게 조절 완전한 평등 추구
개인 자유 높음 (사업, 소비 자유로움) 중간 (자유는 있지만 국가가 일부 조절) 낮음 (개인의 자유 제한 많음)
결과물 분배 일한 만큼 벌어감 (많이 벌 수도 있음) 일정 수준 조절해서 분배 (불평등 완화) 모두 똑같이 나눔
복지/공공 서비스 개인이 직접 비용 부담 교육·의료 등은 국가가 제공 국가가 모두 책임짐
예시 국가 미국, 한국, 일본 스웨덴, 노르웨이, 프랑스 (혼합형 사회주의) 옛 소련, 북한 (이론적 공산주의에 가까움)
 
 

📝 정리 한 줄씩만 다시 말하면:

  • 자본주의: "열심히 하면 부자 될 수 있어!"
  • 사회주의: "불공평하지 않게 나라가 좀 도와줄게!"
  • 공산주의: "모두가 똑같이 나누고 같이 살자!"

 

 

참고) 🌍 공산주의자들이 전 세계를 바꾸려 한 이유

1. "모두가 함께 해야 진짜 공산주의다"는 믿음

  • 마르크스(공산주의 이론 만든 사람)는 이렇게 말했어요:
    "모든 나라의 노동자들이 단결해, 자본주의를 무너뜨리자!"
  • 한 나라만 공산주의여도
    👉 옆 나라가 자본주의면 위협받고, 영향받고, 불안정해진다고 생각했어요.

2. 자본주의와는 절대 같이 못 산다고 믿음

  • 공산주의자들은 자본주의를 "착취하는 체제"라고 봤어요.
  • 그래서 공산주의 vs 자본주의는 싸워야 하는 관계라고 생각했죠.
    👉 실제로 냉전(미국 vs 소련)도 이 생각 때문에 일어났어요.

3. 이념의 전파 = 사명감

  • 공산주의자들은 자신들이 인류를 해방시킬 사명을 가졌다고 믿었어요.
  • 마치 종교처럼 “우리 생각이 옳으니 세상을 바꿔야 해!”라는 열정이 있었어요.

4. 현실적인 전략도 있었음

  • 주변국이 자본주의 국가면 위험하니까,
    👉 완충국(친한 공산국가)을 만들고 싶었던 것도 있어요.
    (예: 소련은 동유럽에 공산주의 위성국가들을 세움)

🤔 그런데 왜 이런 생각이 문제였을까?

  • 자기 방식만 옳다고 믿으면 → 다른 방식은 다 적이 됨
  • 그래서 전쟁, 침략, 내전이 많았고
  • 실제로는 수많은 희생자와 탄압이 생겼어요
    (예: 스탈린 숙청, 북한의 인권문제, 캄보디아의 킬링필드 등)

🧠 요약하면:

공산주의자들은 "우리만 잘 살자"가 아니라,
"세상 전체가 바뀌지 않으면 우리도 위험하다"

  • "우리가 인류를 구할 사명을 가졌다"고 믿었기 때문에
    👉 옆 나라, 전 세계를 공산주의로 만들려고 한 거예요.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