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6. 11. 14:27
반응형
컴퓨터 용어에서 "플랫폼"은 아주 쉽게 말하면 어떤 프로그램이나 서비스가 돌아갈 수 있는 '기반' 또는 '환경'을 말해요.
예를 들어 설명해볼게요
예시 1: 게임기로 설명하기
- 닌텐도 스위치, 플레이스테이션, XBOX 같은 게임기들은 각각 게임을 실행하는 플랫폼이에요.
- 어떤 게임은 닌텐도에서만 되고, 어떤 게임은 플레이스테이션에서만 되죠?
→ 이유는 그 게임이 해당 플랫폼에서 돌아가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이에요.
예시 2: 컴퓨터나 스마트폰
- Windows, macOS, Android, iOS 이런 운영체제들도 플랫폼이에요.
- 어떤 앱은 iPhone에서는 되지만 안드로이드에서는 안 될 수도 있죠?
→ 그건 그 앱이 iOS 플랫폼에 맞게 만들어졌기 때문이에요.
정리하면:
플랫폼 = 프로그램이나 앱이 작동할 수 있는 '기초 환경' 또는 '무대'예요.
개발자 입장에서 보면?
- 플랫폼은 앱을 만들 때 기준이 되는 환경이에요.
예: "이 앱은 안드로이드 플랫폼용으로 만든 거예요." - 클라우드 서비스도 플랫폼이 될 수 있어요.
예: "AWS(아마존 클라우드)는 웹서비스를 위한 플랫폼이에요."
예를 들어 더 쉽게 설명)
비유: 요리와 주방
생각해보세요:
- 요리사 = 프로그램 (앱, 게임, 웹서비스 등)
- 주방 = 플랫폼
- 음식 = 결과 (게임 실행, 앱 작동 등)
🧑🍳 요리사는 주방이 있어야 요리를 할 수 있어요.
💻 마찬가지로 앱이나 프로그램도 플랫폼이 있어야 작동할 수 있어요.
[ 플랫폼 (Platform) ]
↓ ↓ ↓ ↓
┌─────────────────────┐
│ 스마트폰 (iOS, 안드로이드) │
│ 컴퓨터 운영체제 (윈도우 등) │
│ 게임기 (닌텐도, PS 등) │
│ 웹사이트 제공 서버 (예: AWS) │
└─────────────────────┘
↑ ↑ ↑ ↑
앱, 게임, 웹서비스
- 이 "플랫폼" 안에서 앱이나 게임이 실행돼요.
- 즉, 플랫폼은 앱이나 프로그램이 살 수 있는 집 또는 땅 같은 거예요.
🎮 예시로 비교
프로그램 (앱)플랫폼이 없다면?플랫폼이 있으면?
스마트폰 앱 | 그냥 코드일 뿐, 실행 불가 | Android, iOS에서 실행 가능 |
닌텐도용 게임 | 컴퓨터에선 실행 안 됨 | 닌텐도라는 게임기(플랫폼)에서 실행됨 |
유튜브 | 브라우저 없으면 못 봄 | Chrome, Safari 같은 웹브라우저(플랫폼)에서 실행됨 |
🧠 핵심 요약!
- 플랫폼 = 앱이나 게임이 움직일 수 있는 환경
- 종류: 운영체제(윈도우), 스마트폰(iOS), 웹사이트 환경, 게임기 등
- 없으면 앱은 움직일 수 없음!
반응형
'컴퓨터 잡다학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롬에 광고 사이트가 자동으로 북마크에 등록 현상 막는 방법 (1) | 2025.06.19 |
---|---|
TCP와 UDP 차이점을 쉽게 설명 // 네트워크 (0) | 2025.06.05 |
컴퓨터 (Computer), 컴퓨팅 (Computing) 용어 쉽게 예를 들어 설명 (3) | 2025.06.05 |
스마트안경에 인공지능(AI) 기술 병원, 의료 보건에 접목 // AI (2) | 2025.05.29 |
"모델(model)"과 "알고리즘(algorithm)"의 의미 정리 (1) | 2025.05.22 |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