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광고1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4. 24. 07:36
반응형

엣지(Edge)?

엣지는 영어로 "가장자리"라는 뜻이에요.
컴퓨터나 서버가 있는 중앙(센터)이 아니라,
사람들이 실제로 사용하는 장소에 가까운 곳을 말해요.

 

☞ 데이터를 처리하는 위치를 중앙서버가 아닌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나 그 주변의 가까운 위치로 이동하는 개념. 즉, 가까운 근처에서 바로 처리한다는 뜻입니다.

 

 

엣지에서 데이터 수집은 엣지 컴퓨팅과 관련 있습니다.

엣지컴퓨팅은 데이터를 중앙서버로 보내지 않고,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기나 가까운 위치에서 처리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ex) 스마트폰, 센서, CCTV카메라   --> 데이터 수집 역할

스마트홈 기기에서 센서가 집안의 온도를 측정하면, 그 정보는 곧바로 집안의 로컬서버나, 기기에서 처리되어 중앙서버로 보내지 않고, 바로 조치를 할 수 있습니다.

바로 조치하는건 근처의 작은 컴퓨터(ex. 로컬서버나 게이트웨이)에서 처리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데이터 전송 거리가 짧아지고, 처리속도가 빨라져서 더 빠르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가까운 위치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면 속도나 효율성 면에서 유리합니다.

 

※ 게이트웨이 :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를 말합니다.

데이터를 단순히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

IoT기기들이 센서 데이터를 보내면, 중앙서버로 보내는 대신 게이트웨이라는 장치에서 먼저 처리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는 보통 작은 컴퓨터 처럼 작동하는데, 다음과 같다.

1. 데이터 필터링 : 원치 않는 데이터를 걸러내거나 중요 데이터를 선택하는 작업

2. 데이터 분석 : 간단한 분석을 통해 데이터에서 의미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작업.

3. 데이터집계 : 여러데이터를 모아서 하나로 합치거나 평균을 내는 작업.

4. 알림생성 : 예를 들어, 온도센서가 일정온도를 초과하면 알림을 보내늦ㄴ 작업

게이트웨이가 이렇게 처리하면, 전체시스템이 더 효율적이고 빠르게 작동할 수 있다.

ex) 스마트 홈에서 온도나 습도센서가 수집한 데이터를 게이트웨이가 처리해서, 불필요한 데이터를 줄이고 중요한 정보만 중앙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 예를 들어볼게요:

  • 우리가 스마트폰, CCTV, 자율주행차, 공장 기계 등을 사용할 때
    이 기기들 근처에서 바로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처리하면
    이걸 엣지에서 처리한다고 말해요.

 

🔄 왜 엣지를 쓰나요?

  1.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요
    데이터를 멀리 중앙 서버로 보내지 않아도 되니까요.
  2. 인터넷이 끊겨도 작동할 수 있어요
    주변에서 직접 계산하고 판단할 수 있어서요.
  3. 트래픽 줄이기
    쓸데없이 모든 데이터를 서버로 보내지 않아도 되니까요.

 

📌 정리하면:

엣지(Edge)는 데이터를 모으고 처리하는 현장 가까운 곳이에요!
스마트 기기 근처에서 바로 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똑똑한 방법이에요.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4. 10. 9. 00:15
반응형

컴퓨터 용어에서 토큰(token)은 텍스트나 데이터에서 가장 작은 의미 있는 단위로,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도록 쪼갠 조각을 의미해요. 쉽게 말하면, 문장을 잘게 나눈 '단어'와 비슷한 개념이라고 생각할 수 있죠.

예를 들어, 다음 문장을 봅시다.

"나는 사과를 먹었다."

이 문장을 컴퓨터가 처리하려면, 먼저 의미 있는 단위로 나누어야 해요. 이때 각 단위가 바로 '토큰'이 됩니다. 이 문장은 다음과 같은 토큰으로 나눌 수 있어요.

  • "나는"
  • "사과를"
  • "먹었다"

각 단어가 하나의 토큰이 되는 거죠. 하지만 상황에 따라 토큰은 단어뿐만 아니라, 더 작은 단위인 문자나 기호일 수도 있어요. 예를 들어, 영어 문장 "I am happy."를 토큰화하면

  • "I"
  • "am"
  • "happy"
  • "."

여기서는 마침표도 하나의 토큰으로 인식되죠.

토큰은 컴퓨터가 텍스트를 이해하고 처리하는 데 필수적인 기본 단위라 생각하면 됩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4. 10. 6. 21:24
반응형

"프로세서"와 "프로세스"는 컴퓨터 과학에서 서로 다른 개념을 의미합니다. 이 둘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프로세서 (Processor)

  • 정의: 프로세서는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그래픽 처리 장치(GPU)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합니다.
  • 역할: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장치입니다. 프로세서는 연산, 데이터 이동, 제어 명령 등을 처리하며, 컴퓨터 시스템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예시: Intel Core i7, AMD Ryzen, Apple M1 등이 프로세서에 해당합니다.
  • 기능: 프로세서는 여러 프로세스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 기능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2. 프로세스 (Process)

  • 정의: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프로그램이 메모리에서 실행되고 있는 상태를 가리키며, 운영체제가 관리합니다.
  • 역할: 프로그램 실행 시 프로세스가 생성되며, 프로세스는 프로세서 자원을 할당받아 작업을 수행합니다. 각 프로세스는 독립된 메모리 공간을 할당받아 서로 간섭하지 않고 실행됩니다.
  • 예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면 하나의 프로세스가 생성되며, 동시에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여러 프로세스가 동작하게 됩니다.
  • 기능: 프로세스는 상태(준비 상태, 실행 상태, 대기 상태 등)를 가지며, 운영체제가 이를 관리합니다. 하나의 프로그램은 여러 개의 프로세스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주요 차이점 요약:

  • 프로세서하드웨어이며, 명령어를 처리하는 장치입니다.
  • 프로세스소프트웨어적인 개념으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인스턴스입니다.

쉽게 말하면, 프로세서는 작업을 처리하는 물리적인 장치이고, 프로세스는 그 프로세서가 처리하는 작업의 단위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4. 9. 11. 00:38
반응형

WPS(Wi-Fi Protected Setup)는 무선 네트워크에 장치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안 표준입니다. 주로 공유기와 같은 무선 라우터에서 사용되며, 복잡한 암호를 입력하지 않고도 버튼을 누르거나 PIN을 입력하여 Wi-Fi 네트워크에 기기를 쉽게 연결할 수 있게 해줍니다.

WPS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WPS 버튼: 공유기와 기기에서 WPS 버튼을 눌러 쉽게 연결합니다.

PIN 방식: 공유기와 기기에서 제공하는 PIN 번호를 입력하여 연결합니다.
                  하지만 WPS는 보안 취약점이 존재할 수 있어, 최신 보안 방식(WPA3 등)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많은 사용자들이 이 보안 취약점을 인식하고 WPS를 비활성화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