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광고1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1. 29. 11:18
반응형

윈도우 11 계정 암호를 수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설정 앱을 통한 암호 변경:

  • Windows 설정 열기: 윈도우 키 + i 키를 동시에 누르거나, 시작 메뉴에서 "설정"을 클릭하여 설정 앱을 엽니다.
  • 계정 > 로그인 옵션: 설정 앱에서 "계정"을 선택한 후, 왼쪽 메뉴에서 "로그인 옵션"을 클릭합니다.
  • 암호 변경: "암호" 항목에서 "변경" 버튼을 클릭합니다.
  • 현재 암호 확인: 현재 사용 중인 암호를 입력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 새 암호 설정: 원하는 새 암호를 입력하고, "암호 확인" 필드에 다시 한번 입력합니다.
  • 암호 힌트 (선택 사항): 필요한 경우 암호 힌트를 입력합니다. 이는 암호를 잊었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완료: "다음" 버튼을 클릭하여 암호 변경을 완료합니다.

2. 명령 프롬프트를 통한 암호 변경:

  • 명령 프롬프트 실행: 검색 창에 "cmd"를 입력하고, "명령 프롬프트"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선택합니다.
  • 명령어 입력: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net user [사용자 계정 이름] [새 암호]
    
    이때, [사용자 계정 이름]은 암호를 변경하려는 계정의 이름으로, [새 암호]는 변경할 새 암호로 바꿔야 합니다.
  • 완료: 명령어가 성공적으로 실행되면 암호가 변경됩니다.

주의 사항:

  • Microsoft 계정 암호: 윈도우 11에 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 위 방법으로 암호를 변경하면 Microsoft 계정 자체의 암호가 변경됩니다. 따라서 Outlook, OneDrive 등 다른 Microsoft 서비스에서도 변경된 암호를 사용해야 합니다.
  • 로컬 계정 암호: 윈도우 11에 로컬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 위 방법으로 암호를 변경하면 해당 로컬 계정의 암호만 변경됩니다.

암호 복구: 암호를 잊은 경우, Microsoft 계정 복구 페이지 또는 로컬 계정 복구 방법을 통해 암호를 재설정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4. 11. 30. 22:39
반응형

컴퓨터 본체에 전원이 들어온 상태에서 전원 스위치를 켜면 컴퓨터가 자동으로 켜지게 된다.

이 부분은 컴퓨터 메인보드 제조회사마다 조금씩 다를 수는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하려면

바이오스 셋업에서 하면된다.

Advanced > ACPI Settings에서 작업 하면 된다.

Restore On AC/Power Loss에서 작업해주면 된다.

이 메뉴는 PC의 전원이 정전이나 기타 다른 상황에서 전기가 끊겼다가 다시 전원이 들어올 경우 사용하는 편이다.

 

Power Off : 정전시 컴퓨터 전원을 off 상태로 그냥 두겠다는 것이다.

Power On : 정전시 컴퓨터 전원을 On 상태로 해두는 것이다.

Last State : 정전시 시스템의 전원이 꺼지거나 중단되기 바로 이전 상태로 복구 한다.

 

서버용으로 컴퓨터를 계속 켜놓은 상태로 해야할 경우에는 Power On 으로 설정해두어야 한다.

그러면 전원이 정전된 후 복구 되어 전기가 다시 들어오게 되면 컴퓨터가 스스로 켜지게 되므로 구지 컴퓨터를 전원을 다시 눌러주러 올 필요가 없다.

 

☆ 설정을 통해 전원이 들어오면 PC가 자동으로 켜지도록 할 수 있습니다.

 

PC의 전원을 연결했을 때 자동으로 켜지게 하려면 BIOS 설정에서 "AC Power Loss Behavior" 또는 이와 유사한 옵션을 조정해야 합니다. 아래는 일반적인 설정 방법입니다.


1. BIOS에 진입하기

  1. PC를 재부팅하거나 켭니다.
  2. 부팅 시 Delete, F2, F12, Esc 등의 키를 반복적으로 눌러 BIOS에 진입합니다. (메인보드 제조사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예: ASUS는 보통 Delete, MSI는 Del, Gigabyte는 Del 또는 F2.

2. 옵션 찾기

BIOS에 진입한 후 아래 단계를 따르세요:

  1. Power Management 또는 Advanced 메뉴로 이동.
    • 메뉴 이름은 메인보드 제조사나 BIOS 버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2. AC Power Loss Behavior 또는 Restore AC Power Loss 같은 항목을 찾습니다.
    • 이 옵션은 전원이 복구되었을 때 PC의 동작을 설정하는 기능입니다.

3. 설정 변경

  1. 해당 항목을 선택하고 옵션을 변경합니다.
    • Power On: 전원이 복구되면 자동으로 켜짐.
    • Last State: 전원 복구 전 상태를 유지. (전원이 꺼져 있었다면 꺼진 상태로 유지.)
    • Power Off: 전원이 복구되어도 꺼진 상태 유지.
  2. Power On으로 설정합니다.

4. 설정 저장 및 종료

  1. 설정을 변경한 후 F10 키를 눌러 저장하고 BIOS를 종료합니다.
  2. PC가 재부팅됩니다.

참고

  • 설정 메뉴와 항목 이름은 메인보드 제조사와 BIOS 버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메인보드 설명서를 참고하거나 제조사 공식 웹사이트에서 가이드를 확인하세요.
  • 일부 BIOS는 해당 옵션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별도의 하드웨어 설정이나 업그레이드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3. 11. 18. 22:50
반응형

MS Office 프로그램 설치시 오류 메시지가 뜨면,

 

 

삭제 했어도, 위 그림의 메시지가 뜨면, 제어판에서 프로그램 추가 삭제에서 제거한것만 가지고는 안됩니다.

 

이럴때는 아래 순서를 따라해보도록 합니다.

 

1. WinKey + R > cmd

 

2. 아래 내용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REG ADD "HKCU\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Uninstall\SaRA" /v "SaraInstalled" /t REG_SZ /d "0" /f

 

3. SetupProd_OffScrub 파일을 실행합니다.

 

'설치'를 클릭하고 계속 프로그램을 진행 시킵니다.

모두 완료되면, 아래 그림처럼 메시지창이 나올 것입니다.

 

참고로 원노트는 재설치해도 그대로이면, 다른 방법을 찾아보기 바랍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3. 4. 7. 01:07
반응형

웹 페이지를 PDF로 만드는 방법

 

웹 페이지를 PDF로 만드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여기에는 가장 일반적인 두 가지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브라우저의 내장 기능을 사용하기
대부분의 현대적인 웹 브라우저는 내장된 기능으로 웹 페이지를 PDF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일반적인 브라우저의 예입니다.

 

Google Chrome: 웹 페이지를 열고 Ctrl + P (Windows) 또는 Command + P (Mac)를 눌러 인쇄 대화상자를 엽니다. 출력 대상을 "인쇄 대화상자"에서 "PDF"로 변경한 다음 "인쇄" 버튼을 클릭합니다.
Mozilla Firefox: 웹 페이지를 열고 Ctrl + P (Windows) 또는 Command + P (Mac)를 눌러 인쇄 대화상자를 엽니다. 출력 대상을 "인쇄 대화상자"에서 "PDF"로 변경한 다음 "인쇄" 버튼을 클릭합니다.
Microsoft Edge: 웹 페이지를 열고 Ctrl + P (Windows) 또는 Command + P (Mac)를 눌러 인쇄 대화상자를 엽니다. 출력 대상을 "인쇄 대화상자"에서 "Microsoft Print to PDF"로 변경한 다음 "인쇄" 버튼을 클릭합니다.
온라인 PDF 변환기 사용하기
인터넷에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온라인 PDF 변환기가 많이 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를 사용하면 브라우저에서 웹 페이지를 열 필요 없이 URL을 입력하고 변환 버튼을 클릭하기만 하면 됩니다. 다음은 몇 가지 예시입니다.

 

Smallpdf : URL을 입력하고 변환 버튼을 클릭하면 웹 페이지를 PDF로 변환합니다.

https://smallpdf.com/kr/convert-to-pdf

 

PDF24 : URL을 입력하고 변환 버튼을 클릭하면 웹 페이지를 PDF로 변환합니다.

https://tools.pdf24.org/ko/website-to-pdf

 

Webpage to PDF : URL을 입력하고 변환 버튼을 클릭하면 웹 페이지를 PDF로 변환합니다.

https://sur.ly/i/webpagetopdf.com/

 

이러한 방법으로 웹 페이지를 PDF로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3. 3. 29. 00:17
반응형

엑셀 수식입력줄에 있는 수식이 안보이게 하기

엑셀 셀이 클릭안되게 하기

 

 

 

노랑색에 수식이 A1+B1 이 들어있습니다.

C1 ~ C5 클릭도 안되고, 수식도 안보이게 처리하는 순서를 작성합니다.

 

1. Ctrl + A 또는 A열과 1행이 겹치는곳을 클릭

  -  전체 셀이 블럭이 잡힘

 

2.  모든 셀이 블럭이 잡힌 상태에서 셀서식 > 보호 > 잠금 해제

 

2. 원하는 셀만 범위(C1:C5) 잡고, 셀서식 > 잠금 체크
   수식을 안보이게 하려면, 숨김도 체크


3. 검토 > 시트보호 > 암호 치고 확인클릭하면 됨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1. 9. 10. 13:30
반응형

ITQ 접수

 

1. 네이버 검색 : ITQ

2. 정보기술자격센터 ITQ
https://license.kpc.or.kr/nasec/qlfint/qlfint/selectItqinfotchnlgyqc.do

3. 시험일정을 체크합니다.

4. 접수기간이 되면, '원서접수신청'이 활성화된다.

5. 접수하기 클릭하면, '사진등록 및 수정하기' 에서 사진 등록하기

> 사진선택하기

참고) 당장 사진이 없으면, '임시사진등록 '를 클릭해서, 아무 그림파일이나 등록한다.
하지만, 본인사진이 아닌 경우 시험전 사진수정 기간내까지 변경해야하며, 미 변경 시 실격처리 됩니다.

6. 고사장 선택

7. 아래한글 : SW선택 : 한글2010, 한컴Neo  //// 2021-09-10 기준
   한글엑셀 : MS2010, MS2016 을 선택

8. 결제하기

@ 2021년 까지

한글 : 2010버젼, NEO버젼

여기서 NEO버젼은 한글2016버젼을 의미한다.

 

2022년부터

2020버젼, NEO버젼 으로 바뀌게 된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0. 8. 17. 18:50
반응형

방법1)

1번 : 점 3개짜리를 클릭한다.

2번 : 도구더보기를 클릭한다.

3번 : 개발자 도구를 클릭한다.

 

 

그러면 아래 그림이 나온다.

 

여기서 다시

1번 : 점3개 클릭한다.

2번 : More tools 클릭한다.

3번 : Settings 클릭한다.

 

Settings를 클릭하면, 아래로 쭈욱 내리면, 아래 사진 처럼 Debugger 메뉴가 있다.

그 아래에 있는 Disable JavaScript 를 클릭하면 마우스 드래그가 차단된 글들을 드래그 할 수 있게 된다.

막아져 있던 드래그를 풀어지게 된 것이다.

 

 

방법2)

위 과정을 가장 빠르게 하는 방법이 있다.

F12를 누르고 F1을 누른다.

그러면, 바로 Settings 창이 뜬다.

거기에서 바로 Debugger > Disable JavaScript를 체크해주고 글을 드래그 해서 복사하면 된다.

 

 

주의할 점

오른쪽의 창을 X 버튼을 클릭해서 닫으면 다시 글을 복사하는 기능이 차단 되므로, 닫아서는 안된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0. 7. 28. 19:50
반응형

설정 > 개인정보 및 보안 > 인터넷사용기록삭제 : 전체기간 > 고급 > 인터넷사용기록삭제

 

1. 설정을 누른다.

2. 개인정보 및 보안 클릭 > 인터넷 사용기록 삭제

 

3. 고급클릭하고, 기간은 전체기간으로 설정한다. 그렇지 않으면, 기본값이 짧게 되어있어서, 모두 지워지지 않는다.

기간 설정 후에 인터넷 사용기록 삭제를 클릭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자동으로 등록되어 있는 아이디의 흔적을 삭제할 수 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