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광고1

'2025/07/08'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25.07.08 1미터의 기준 및 정의 1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7. 8. 10:31
반응형

1미터의 기준은 시간에 따라 여러 번 바뀌어왔습니다. 가장 최신이자 현재 사용하고 있는 1미터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현재 1미터의 정의: 빛을 이용한 정의

현재 1미터는 "빛이 진공에서 299,792,458분의 1초 동안 진행하는 거리"로 정의됩니다.

아주 쉽게 설명하면:

우리가 알고 있는 빛은 엄청나게 빠르죠? 이 빛이 아무것도 없는 진공 상태에서 딱 1초도 안 되는 아주 짧은 시간(정확히는 299,792,458분의 1초) 동안 이동한 거리를 재서 그 거리를 '1미터'라고 정한 거예요.

왜 이렇게 정의할까요?

  • 변하지 않는 기준: 빛의 속도는 우주 어디에서든 항상 일정하다고 알려져 있어요. 따라서 빛의 속도를 기준으로 삼으면 누가 어디서 재든 1미터의 길이가 항상 똑같겠죠? 예전처럼 어떤 물체를 기준으로 삼으면 그 물체가 변형되거나 사라질 위험이 있었는데, 빛은 그런 걱정이 없으니까 훨씬 정확하고 안정적인 기준이 되는 거예요.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우리가 똑같은 속도로 달리는 아주 정확한 로봇을 가지고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이 로봇이 1초도 안 되는 아주 짧은 시간 동안 딱 정해진 만큼만 움직였을 때, 그 움직인 거리를 '1미터'라고 약속한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만 여기서 로봇 대신 '빛'을, 로봇의 속도 대신 '빛의 속도'를 이용하는 거죠.

 

 

과거 1미터의 정의 (참고)

예전에는 1미터를 정의하는 방식이 지금과는 달랐습니다.

  1. 지구를 이용한 정의 (초기):
    • 원래 1미터는 지구 북극에서 적도까지의 거리(자오선)를 1000만 등분한 길이로 정의하려고 했습니다.
    • 예시: 마치 지구를 아주 거대한 자로 삼아서, 그 자의 특정 부분에 눈금을 표시해서 1미터를 정한 것과 비슷해요.
    • 문제점: 지구의 모양이 완벽한 구가 아니라서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고, 지구가 계속 변하기 때문에 정밀한 기준으로 삼기 어려웠어요.
  2. 백금-이리듐 합금 막대 (1889년):
    • 위의 문제점 때문에 프랑스에서 백금과 이리듐을 섞어 만든 특별한 막대를 만들고, 그 막대에 표시된 두 점 사이의 거리를 '1미터'로 정했습니다. 이것을 '국제 미터 원기'라고 불렀어요.
    • 예시: 마치 전 세계가 "이 특정 막대기의 길이가 1미터다!"라고 약속하고, 다른 모든 길이를 이 막대기와 비교해서 잰 것과 같아요.
    • 문제점: 이 막대기도 시간이 지나면서 아주 미세하게 변형되거나, 온도에 따라 길이가 달라질 수 있었어요. 또, 전 세계 모든 사람이 이 막대를 가지고 다닐 수 없으니 복사본을 만들었는데, 복사본들도 완벽하게 똑같지는 않았습니다.

이러한 문제점들 때문에 더 정확하고 변하지 않는 기준을 찾게 되었고, 최종적으로 현재의 빛을 이용한 정의로 바뀌게 된 것입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