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광고1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5. 18. 02:56
반응형

윈도우 10의 공식 지원 종료일은 2025년 10월 14일입니다. 이날 이후로 윈도우 10은 보안 업데이트, 기능 개선, 기술 지원 등을 더 이상 받지 못하게 됩니다.


🔍 지원 종료 후 영향

  • 보안 위험 증가: 지원 종료 후에는 보안 취약점에 대한 패치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해킹이나 랜섬웨어 공격에 노출될 위험이 커집니다.
  • Microsoft 365 앱 지원 종료: Microsoft는 2025년 10월 14일 이후 윈도우 10에서 Microsoft 365(구 Office) 앱에 대한 지원을 종료합니다. 이 앱들은 계속 작동하겠지만, 성능 저하나 안정성 문제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The Verge
  • 하드웨어 호환성 문제: 윈도우 11은 TPM 2.0, Secure Boot 등 특정 하드웨어 요구 사항이 있어, 일부 구형 PC는 업그레이드가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새로운 PC 구매를 고려해야 할 수 있습니다. The Verge+7The Verge+7The Sun+7

🛡️ 연장 보안 업데이트(ESU)

Microsoft는 지원 종료 후에도 보안 업데이트를 연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 소비자 요금: 연간 $30로 1년간 보안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 The Verge+4The Verge+4The Verge+4
  • 기업 요금: 첫 해 $61, 두 번째 해 $122, 세 번째 해 $244로 최대 3년간 연장 가능합니다. The Verge

이 프로그램은 보안 업데이트만 제공되며, 새로운 기능이나 기술 지원은 포함되지 않습니다.The Verge


🖥️ 권장 사항

  • 업그레이드 고려: 가능한 경우, 윈도우 11로의 업그레이드를 고려하세요. 이는 보안과 최신 기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새로운 PC 구매: 기존 PC가 윈도우 11의 하드웨어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않는다면, 새로운 PC 구매를 고려하세요.
  • 지원 연장 활용: 업그레이드가 어려운 경우, 연장 보안 업데이트 프로그램을 통해 보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지원 종료까지 약 5개월이 남아 있으므로, 미리 계획을 세워 원활한 전환을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5. 13. 04:11
반응형

Windows 11 PE(Preinstallation Environment) 버전의 경우, 일반 Windows처럼 GUI로 명확하게 버전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명령어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확인 방법 (CMD 명령어 사용)

Windows PE 부팅 후 **명령 프롬프트(cmd)**를 실행하여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cmd
복사편집
ver

또는

cmd
복사편집
winver

또는 좀 더 상세한 정보를 원할 경우:

cmd
복사편집
systeminfo

또는 PE용임을 포함한 버전 확인은 다음으로도 가능합니다:

cmd
복사편집
reg query "HKLM\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

이 명령은 레지스트리에서 현재 Windows PE가 기반한 Windows의 빌드 및 버전 정보를 보여줍니다.


추가 팁:

  • PE는 일반 Windows처럼 설정 > 시스템 > 정보 같은 GUI 경로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 PE가 10 기반인지 11 기반인지 판단하려면 위 명령어 결과에서 "CurrentVersion", "CurrentBuild", "ProductName" 등을 확인하면 됩니다. 예:
    • 10.0.22621 → Windows 11 22H2 기반
    • 10.0.22000 → Windows 11 초기 버전

 

참고)

cmd > systeminfo에서 PE용인지 확인 관련 내용

 

systeminfo 명령어에서는 해당 시스템이 Windows PE(Preinstallation Environment)인지 여부를 직접적으로 표시해주지 않습니다.
systeminfo는 주로 CPU, 메모리, 설치 날짜, OS 이름 등을 보여줄 뿐, "이건 PE입니다"라는 식의 항목은 없습니다.


✅ Windows PE 여부를 확인하는 더 정확한 방법

cmd에서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세요:

cmd
복사편집
reg query HKLM\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MiniNT
  • 이 레지스트리 키 MiniNT가 존재하면 → 현재 실행 중인 환경이 Windows PE입니다.

또는 아래 명령도 가능:

cmd
복사편집
reg query HKLM\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PEEnvironment
  • PEEnvironment가 1이면 → PE 환경입니다.

간단히 정리하면:

방법PE 여부 확인 가능 여부비고
systeminfo ❌ 불가능 일반 시스템 정보만 표시
reg query HKLM\...\MiniNT ✅ 가능 존재하면 PE 환경
reg query HKLM\...\PEEnvironment ✅ 가능 값이 1이면 PE 환경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5. 6. 10:35
반응형

ㄱ을 눌렀는데 쌍기역(ㄲ)으로 바뀌어 나오는 현상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능한 원인:

  • 키보드 설정 오류:
    • 고정 키 (Sticky Keys) 기능 활성화: 이 기능이 켜져 있으면 Shift나 Ctrl과 같은 보조 키를 누른 상태로 인식하여 'ㄱ'을 눌렀을 때 'ㄲ'으로 입력될 수 있습니다.
    • 입력 언어 또는 키보드 종류 설정 오류: 간혹 입력 언어가 잘못 설정되어 있거나 다른 종류의 키보드 설정이 적용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 입력기 자동 고침 또는 단축키 설정: 사용하시는 입력기(예: Microsoft 입력기, 한컴 입력기 등)의 자동 고침 기능이나 특정 단축키 설정 때문에 'ㄱ'이 'ㄲ'으로 변환될 수 있습니다.
  • 키보드 자체 문제:
    • 키 눌림 불량: 'Shift' 키가 물리적으로 눌려 있지 않더라도 내부적으로 접촉 불량 등의 문제로 인해 Shift 키가 눌린 상태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 소프트웨어 문제:
    • 입력기 오류: 사용 중인 입력기에 일시적인 오류가 발생했을 수 있습니다.
    • 다른 프로그램과의 충돌: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 중일 때 키보드 입력에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해결 방법:

  1. 고정 키 기능 확인 및 해제:
    • Windows 검색창에 "고정 키"를 검색하여 해당 설정 창을 엽니다.
    • "고정 키 사용" 옵션이 켜져 있다면 끄고 "적용" 또는 "확인"을 클릭합니다.
  2. 입력 언어 및 키보드 종류 확인:
    • 작업 표시줄의 입력기 아이콘 (보통 "한" 또는 "Eng")을 클릭합니다.
    • "언어 기본 설정" 또는 유사한 메뉴를 선택합니다.
    • "기본 설정 언어"에 "한국어"가 있는지 확인하고, "키보드" 항목에서 사용하시는 키보드 종류 ("Microsoft 입력기" 또는 "한글 키보드(101/103/106키)")가 올바르게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만약 다른 입력기가 추가되어 있다면 불필요한 입력기를 제거해 보세요.
  3. 입력기 설정 확인:
    • 사용하시는 입력기의 설정 (예: Microsoft 입력기 설정, 한컴 입력기 설정 등)을 확인하여 자동 고침이나 단축키 관련 설정을 점검해 보세요.
  4. 키보드 점검:
    • 다른 키보드가 있다면 연결하여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는지 확인해 보세요. 다른 키보드에서는 문제가 없다면 현재 사용 중인 키보드의 물리적인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5. 입력기 재시작:
    • Ctrl + Shift + Esc 키를 눌러 작업 관리자를 실행합니다.
    • "세부 정보" 탭에서 ctfmon.exe 프로세스를 찾습니다.
    • 해당 프로세스를 선택하고 "작업 끝내기"를 클릭한 후 다시 실행해 보세요 (일반적으로 자동으로 다시 실행되거나, Windows 키 + R을 누르고 ctfmon을 입력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6. 컴퓨터 재부팅:
    • 단순한 소프트웨어 오류일 경우 재부팅만으로 문제가 해결될 수 있습니다.
  7. 키보드 드라이버 업데이트 또는 재설치:
    • Windows 검색창에 "장치 관리자"를 검색하여 실행합니다.
    • "키보드" 항목을 확장하고 사용하시는 키보드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합니다.
    •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선택하여 자동으로 드라이버를 검색 및 설치하거나, 제조사 웹사이트에서 최신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해 보세요.
    • 문제가 지속되면 "장치 제거" 후 재부팅하여 Windows가 자동으로 드라이버를 다시 설치하도록 해볼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4. 26. 12:24
반응형

https://wiki.kldp.org/wiki.php

 

KLDPWiki: 대문

이곳 KLDP 위키에 처음 오셨고 좀 더 자세한 KLDPWiki의 사용법을 알고싶으시나요?

wiki.kldp.org

 

 

KLDP의 위키위키입니다. KLDP 오픈소스 자유소프트웨어를 지향하는 오픈소스 커뮤니티를 표방하는 곳입니다.

 

주요 학습 및 정보:

  • 오픈소스 및 자유 소프트웨어(FreeSoftware): KLDP는 이러한 가치를 지향하는 커뮤니티이며, 위키에서도 관련 내용들을 다룹니다.
  • 리눅스(Linux): 과거 "리눅스 한글 문서화 프로젝트"에서 시작된 만큼, 리눅스 관련 문서와 정보가 많습니다.
  • IT 기술 전반: 문서화 프로젝트에 국한되지 않고, 넓은 범위의 IT 관련 정보와 개발 관련 내용들이 공유될 수 있습니다.
  • 커뮤니티 활동: 위키는 사용자들의 참여를 통해 만들어지므로, KLDP 커뮤니티의 활동과 관련된 정보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다양한 문서: HOWTO 문서, 팁, 강좌, 문제 해결 등 다양한 형태의 문서들이 존재합니다.

요약하자면, KLDP Wiki는 오픈소스, 자유 소프트웨어, 특히 리눅스 운영체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함께 공유하고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사이트입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3. 20. 00:56
반응형

0.하드 포맷하기전에 바탕화면과 즐겨찾기부터 백업한다.

1. control userpasswords2
[설명] master계정 없앨시
   회원님은 현재 자동로그인 설정이 되어있는데 아무래도 암호가 올바르게
   설정되지 않은것 같습니다.
암튼 자동 로그인을 해제하는 방법은 시작 → 실행에서
" control userpasswords2 "를 입력후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해야 이컴퓨터를
사용할수 있음] 체크표시를 해주시고 재부팅하면 됩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1. 29. 11:18
반응형

윈도우 11 계정 암호를 수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설정 앱을 통한 암호 변경:

  • Windows 설정 열기: 윈도우 키 + i 키를 동시에 누르거나, 시작 메뉴에서 "설정"을 클릭하여 설정 앱을 엽니다.
  • 계정 > 로그인 옵션: 설정 앱에서 "계정"을 선택한 후, 왼쪽 메뉴에서 "로그인 옵션"을 클릭합니다.
  • 암호 변경: "암호" 항목에서 "변경" 버튼을 클릭합니다.
  • 현재 암호 확인: 현재 사용 중인 암호를 입력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 새 암호 설정: 원하는 새 암호를 입력하고, "암호 확인" 필드에 다시 한번 입력합니다.
  • 암호 힌트 (선택 사항): 필요한 경우 암호 힌트를 입력합니다. 이는 암호를 잊었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완료: "다음" 버튼을 클릭하여 암호 변경을 완료합니다.

2. 명령 프롬프트를 통한 암호 변경:

  • 명령 프롬프트 실행: 검색 창에 "cmd"를 입력하고, "명령 프롬프트"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선택합니다.
  • 명령어 입력: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net user [사용자 계정 이름] [새 암호]
    
    이때, [사용자 계정 이름]은 암호를 변경하려는 계정의 이름으로, [새 암호]는 변경할 새 암호로 바꿔야 합니다.
  • 완료: 명령어가 성공적으로 실행되면 암호가 변경됩니다.

주의 사항:

  • Microsoft 계정 암호: 윈도우 11에 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 위 방법으로 암호를 변경하면 Microsoft 계정 자체의 암호가 변경됩니다. 따라서 Outlook, OneDrive 등 다른 Microsoft 서비스에서도 변경된 암호를 사용해야 합니다.
  • 로컬 계정 암호: 윈도우 11에 로컬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 위 방법으로 암호를 변경하면 해당 로컬 계정의 암호만 변경됩니다.

암호 복구: 암호를 잊은 경우, Microsoft 계정 복구 페이지 또는 로컬 계정 복구 방법을 통해 암호를 재설정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4. 11. 30. 22:39
반응형

컴퓨터 본체에 전원이 들어온 상태에서 전원 스위치를 켜면 컴퓨터가 자동으로 켜지게 된다.

이 부분은 컴퓨터 메인보드 제조회사마다 조금씩 다를 수는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하려면

바이오스 셋업에서 하면된다.

Advanced > ACPI Settings에서 작업 하면 된다.

Restore On AC/Power Loss에서 작업해주면 된다.

이 메뉴는 PC의 전원이 정전이나 기타 다른 상황에서 전기가 끊겼다가 다시 전원이 들어올 경우 사용하는 편이다.

 

Power Off : 정전시 컴퓨터 전원을 off 상태로 그냥 두겠다는 것이다.

Power On : 정전시 컴퓨터 전원을 On 상태로 해두는 것이다.

Last State : 정전시 시스템의 전원이 꺼지거나 중단되기 바로 이전 상태로 복구 한다.

 

서버용으로 컴퓨터를 계속 켜놓은 상태로 해야할 경우에는 Power On 으로 설정해두어야 한다.

그러면 전원이 정전된 후 복구 되어 전기가 다시 들어오게 되면 컴퓨터가 스스로 켜지게 되므로 구지 컴퓨터를 전원을 다시 눌러주러 올 필요가 없다.

 

☆ 설정을 통해 전원이 들어오면 PC가 자동으로 켜지도록 할 수 있습니다.

 

PC의 전원을 연결했을 때 자동으로 켜지게 하려면 BIOS 설정에서 "AC Power Loss Behavior" 또는 이와 유사한 옵션을 조정해야 합니다. 아래는 일반적인 설정 방법입니다.


1. BIOS에 진입하기

  1. PC를 재부팅하거나 켭니다.
  2. 부팅 시 Delete, F2, F12, Esc 등의 키를 반복적으로 눌러 BIOS에 진입합니다. (메인보드 제조사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예: ASUS는 보통 Delete, MSI는 Del, Gigabyte는 Del 또는 F2.

2. 옵션 찾기

BIOS에 진입한 후 아래 단계를 따르세요:

  1. Power Management 또는 Advanced 메뉴로 이동.
    • 메뉴 이름은 메인보드 제조사나 BIOS 버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2. AC Power Loss Behavior 또는 Restore AC Power Loss 같은 항목을 찾습니다.
    • 이 옵션은 전원이 복구되었을 때 PC의 동작을 설정하는 기능입니다.

3. 설정 변경

  1. 해당 항목을 선택하고 옵션을 변경합니다.
    • Power On: 전원이 복구되면 자동으로 켜짐.
    • Last State: 전원 복구 전 상태를 유지. (전원이 꺼져 있었다면 꺼진 상태로 유지.)
    • Power Off: 전원이 복구되어도 꺼진 상태 유지.
  2. Power On으로 설정합니다.

4. 설정 저장 및 종료

  1. 설정을 변경한 후 F10 키를 눌러 저장하고 BIOS를 종료합니다.
  2. PC가 재부팅됩니다.

참고

  • 설정 메뉴와 항목 이름은 메인보드 제조사와 BIOS 버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메인보드 설명서를 참고하거나 제조사 공식 웹사이트에서 가이드를 확인하세요.
  • 일부 BIOS는 해당 옵션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별도의 하드웨어 설정이나 업그레이드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3. 11. 18. 22:50
반응형

MS Office 프로그램 설치시 오류 메시지가 뜨면,

 

 

삭제 했어도, 위 그림의 메시지가 뜨면, 제어판에서 프로그램 추가 삭제에서 제거한것만 가지고는 안됩니다.

 

이럴때는 아래 순서를 따라해보도록 합니다.

 

1. WinKey + R > cmd

 

2. 아래 내용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REG ADD "HKCU\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Uninstall\SaRA" /v "SaraInstalled" /t REG_SZ /d "0" /f

 

3. SetupProd_OffScrub 파일을 실행합니다.

 

'설치'를 클릭하고 계속 프로그램을 진행 시킵니다.

모두 완료되면, 아래 그림처럼 메시지창이 나올 것입니다.

 

참고로 원노트는 재설치해도 그대로이면, 다른 방법을 찾아보기 바랍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