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광고1

'2025/06/10'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25.06.10 동명사 개념 정리, 쉽게 예제와 함께 설명 / 영어문법 2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6. 10. 03:51
반응형

1. 동명사란?

동명사는 동사에 -ing를 붙여서 '명사처럼' 쓰는 것이에요.

즉, ‘~하는 것’이라는 뜻으로 해석돼요.

 

 

2. 한국어 예문으로 개념 잡기

문장설명
수영은 재미있다. 여기서 '수영'은 '수영하다'라는 동작이 '명사'처럼 쓰인 거예요.
공부하는 것은 중요하다. ‘공부하다’가 ‘하는 것’이라는 명사 역할을 하죠.
 

→ 이처럼 동작을 말하지만, 문장에서 '이름(명사)' 역할을 하는 것을 동명사라고 해요.

 

 

3. 영어로 예문 보기

영어 문장해석설명
Swimming is fun. 수영은 재미있다. ‘swimming’은 ‘수영하다’라는 동작인데, 주어(명사)로 쓰였어요.
Reading helps you learn. 읽는 것은 너의 학습에 도움이 돼. ‘reading’은 ‘읽는 것’이라는 명사예요.
I like cooking. 나는 요리하는 것을 좋아해. ‘cooking’은 ‘요리하는 것’, 목적어(명사)로 쓰였어요.
 
 

4. 동명사는 어디에서 쓰일까요?

  1. 주어
    • Running is good for your health.
      → 달리기는 건강에 좋아요.
  2. 목적어
    • She enjoys dancing.
      → 그녀는 춤추는 것을 즐긴다.
  3. 전치사의 목적어
    • He is good at drawing.
      → 그는 그림 그리기를 잘한다.

 

 

✅ 정리

영어뜻품사 역할
Swimming 수영하는 것 명사 (주어)
Reading 읽는 것 명사 (주어)
Cooking 요리하는 것 명사 (목적어)

 

추가설명)

 

동명사 (Gerund) 쉽게 이해하기! 💡


동명사는 쉽게 말해 동사를 명사처럼 쓸 수 있도록 형태를 바꾼 것이에요. 우리말에도 비슷한 개념이 있어서 이해하기 어렵지 않을 거예요.

한국어에서의 '동명사' 개념

한국어에서 동사를 명사처럼 만들 때 가장 흔히 사용하는 방법은 동사 뒤에 '-기' 나 '-ㅁ'/'-음'을 붙이는 거예요.

  • 예시 1: 동사 '읽다'
    • 원래 동사: 읽다 (to read)
    • 명사처럼: 읽기 (reading)
      • "책 읽기는 좋은 습관이다." (Book reading is a good habit.)
    • 명사처럼: 읽음 (reading/the act of reading)
      • "그의 노력으로 인한 읽음이 실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되었다." (The reading resulting from his effort greatly helped improve his skills.)
  • 예시 2: 동사 '자다'
    • 원래 동사: 자다 (to sleep)
    • 명사처럼: 자기 (sleeping)
      • "늦게 자기는 건강에 좋지 않다." (Late sleeping is not good for health.)

이렇게 '읽기', '자기'처럼 동사가 명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변형된 것이 영어의 동명사와 비슷한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영어에서의 동명사 (Gerund)

영어에서 동명사는 동사 원형 뒤에 '-ing'를 붙여서 만들어요. 한국어의 '-기'나 '-ㅁ'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형태: 동사원형 + -ing

동사 원형 (Verb)동명사 (Gerund)한국어 의미 (Korean meaning)
read reading 읽기, 읽는 것
sleep sleeping 자기, 자는 것
swim swimming 수영하기, 수영하는 것
run running 달리기, 달리는 것
learn learning 배우기, 배우는 것

 

동명사가 문장에서 사용되는 경우

동명사는 문장에서 주로 다음과 같은 명사의 역할을 할 수 있어요.

  1. 주어 (Subject)
    • Swimming is my favorite hobby. (수영하는 것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취미이다.)
    • Learning English is fun. (영어를 배우는 것은 재미있다.)
  2. 목적어 (Object)
    • I enjoy reading books. (나는 책 읽는 것을 즐긴다.)
    • He finished doing his homework. (그는 숙제하는 것을 마쳤다.)
  3. 보어 (Complement)
    • My hobby is cooking. (내 취미는 요리하는 것이다.)
    • His job is teaching children. (그의 직업은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이다.)
  4. 전치사의 목적어 (Object of Preposition)
    • She is good at singing. (그녀는 노래하는 것을 잘한다.)
    • Thank you for coming. (와줘서 고마워요.)

 

이제 동명사가 어떤 것인지 감이 오시나요? 한국어의 '-기'나 '-ㅁ'을 떠올리면서 영어의 '-ing'를 생각하면 훨씬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

 

 

'-ㅁ'은 한국어에서 동사나 형용사를 명사처럼 쓸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어미예요. 좀 더 쉽게 말하면, 어떤 행동이나 상태 그 자체를 가리킬 때 사용한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ㅁ'의 역할과 예시

'-ㅁ'은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돼요.

  1. 동사나 형용사의 의미를 가진 명사를 만들 때: 이것이 가장 일반적인 용법이에요. '-ㅁ'을 붙여서 동사나 형용사의 행위나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를 만들어요.
    • 동사 '꾸다' (dream)
      • 원래 동사: "나는 예쁜 꿈을 꿨다." (I dreamt a beautiful dream.)
      • '-ㅁ'을 붙여 명사화: "그의 꿈은 평화로운 이다." (His dream is a peaceful life.) 여기서 '삶'은 '살다'라는 동사에 '-ㅁ'이 붙어서 '사는 행위' 또는 '인생'이라는 명사가 된 거죠.
    • 동사 '죽다' (die)
      • 원래 동사: "그는 조용히 죽었다." (He died quietly.)
      • '-ㅁ'을 붙여 명사화: "우리는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 (We mourned his death.) '죽음'은 '죽다'에 '-ㅁ'이 붙어 '죽는 행위' 또는 '사망'이라는 명사가 됐어요.
    • 형용사 '아프다' (be sick/hurt)
      • 원래 형용사: "나는 다리가 아프다." (My leg hurts.)
      • '-ㅁ'을 붙여 명사화: "그의 아픔을 이해한다." (I understand his pain.) '아픔'은 '아프다'에 '-ㅁ'이 붙어 '아픈 상태' 또는 '고통'이라는 명사가 돼요.
  2. 공고문이나 표지판 등 간략하게 내용을 전달할 때: 격식을 갖춘 문어나 공적인 문서에서 동사의 의미를 간결하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해요.
    • "관계자 외 출입 금지." (No entry except for authorized personnel.) 여기서 '금지'는 '금하다'에 '-지'가 붙은 형태지만, 동사의 의미를 명사처럼 쓴 예시로 볼 수 있어요. '-ㅁ'이 이와 비슷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뜻이에요. 예를 들어, 옛날 표지판에는 '출입 금함'처럼 쓰이기도 했어요.
    • "본 문서는 외부 유출 불가." (This document cannot be leaked externally.) '유출'은 '유출되다/하다'에서 명사화된 형태로, '-ㅁ'과 비슷한 역할로 동사의 의미를 명사처럼 사용한 예시예요.
  3. 문어체에서 명령이나 제안을 나타낼 때: 옛날 문학 작품이나 특정 문어체에서는 명령이나 제안을 할 때 동사 뒤에 '-ㅁ'을 붙이기도 했어요.
    • "어서 오심." (Please come quickly.) 지금은 잘 쓰이지 않지만, 예전에는 이런 식으로 표현하기도 했어요.

영어의 동명사 (-ing)와 비교

앞서 설명드린 동명사 (Gerund)의 개념과 비슷하게 생각하시면 돼요. 영어에서 동사 뒤에 '-ing'를 붙여 명사처럼 만드는 것처럼, 한국어에서는 동사나 형용사 뒤에 '-ㅁ'을 붙여서 명사처럼 만들 수 있어요.

한국어 '-ㅁ' 예시영어 '-ing' 예시
(life) living (the act of living)
죽음 (death) dying (the act of dying)
아픔 (pain) suffering (the act of suffering)

이처럼 '-ㅁ'은 한국어에서 동사나 형용사를 명사로 변환하여 의미를 더 명확하고 간결하게 전달하는 중요한 문법 요소입니다.

 

 

살짝 난이도를 높여 예제로 설명)

1. 동명사 주어로 사용 – 긴 문장

🔸 예문:
👉 Watching horror movies at night gives me chills.
해석: 밤에 공포 영화를 보는 것은 나를 소름 돋게 해.

  • 여기서 watching horror movies at night는 긴 동명사 구예요.
  • 전체가 주어 역할을 해요.
  • 핵심 동사는 gives예요.

➡️ 구조 분석:

  • 주어: Watching horror movies at night
  • 동사: gives
  • 목적어: me chills

 

 

2. 동명사 목적어로 사용 – 특정 동사 뒤

🔸 예문:
👉 He admitted breaking the window.
해석: 그는 창문을 깬 것을 인정했다.

  • admit (인정하다)는 동명사만 목적어로 받아요.
    ❌ He admitted to break the window (틀림!)
    ✅ He admitted breaking the window

➡️ 구조 분석:

  • 주어: He
  • 동사: admitted
  • 목적어: breaking the window (동명사)

 

 

3. 전치사 뒤에 동명사

🔸 예문:
👉 They left without saying goodbye.
해석: 그들은 작별 인사도 없이 떠났다.

  • 전치사 without 뒤에는 동명사가 와야 해요.
  • saying goodbye = 작별 인사를 하는 것

❌ without say goodbye (틀림!)
✅ without saying goodbye

 

 

4. 동명사 vs. to부정사 차이 예문

이건 영어에서 아주 중요한 포인트예요.

 

동명사(Gerund)와 to부정사(to-infinitive)는 동사 뒤에 나오는 목적어 자리에 올 수 있는 형태인데, 동사에 따라 무엇이 와야 하는지가 정해져 있어요. 아래 표로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 동명사만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

동사뜻예문
enjoy 즐기다 I enjoy reading books.
admit 인정하다 He admitted cheating on the test.
avoid 피하다 She avoids eating late at night.
finish 끝내다 They finished cleaning the room.

 

✅ to부정사만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

동사뜻예문
decide 결정하다 I decided to go home early.
want 원하다 She wants to travel abroad.
plan 계획하다 They plan to visit Paris.
hope 희망하다 We hope to win the game.

 

추가 팁 🔍

  • 동명사 (~ing)는 과거 경험, 습관, 일반적인 행동과 관련된 느낌을 줍니다.
  • to부정사 (to + 동사원형)는 미래 지향적, 목표 지향적인 행동에 자주 쓰입니다.

 

예문 비교:

🔹 She avoided talking to him.
→ 그녀는 그와 말하는 것을 피했다.
(avoid + 동명사만 가능)

🔹 She decided to talk to him.
→ 그녀는 그와 말하기로 결정했다.
(decide + to부정사만 가능)

 

 

5. 동명사의 의미상 주어 표현

🔸 예문:
👉 I’m tired of his complaining all the time.
해석: 나는 그가 항상 불평하는 것에 지쳤다.

  • his complaining → 그가 불평하는 것
  • 동명사의 의미상 주어(his)가 소유격으로 표현됨

※ 의미상 주어 표현:

  • his singing = 그가 노래 부르는 것
  • my working late = 내가 야근하는 것

✅ 정리 포인트

용법예문해석
주어 Learning new languages is fun.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것은 재미있다.
목적어 He enjoys playing the guitar. 그는 기타 치는 것을 즐긴다.
전치사 뒤 She’s interested in learning AI. 그녀는 AI 배우는 것에 관심이 있다.
의미상 주어 I don’t like your shouting. 나는 네가 소리 지르는 것이 싫다.

 

동명사(Gerund)와 to부정사(to-infinitive)를 둘 다 목적어로 쓸 수 있는 동사들도 있는데, 이 중에서는 뜻이 같거나, 뜻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어요. 아래 표로 구분해서 정리해드릴게요.

 

 

동명사 / to부정사 모두 가능 (뜻이 거의 같음)

동사뜻예문 (동명사)예문 (to부정사)
begin 시작하다 He began singing. He began to sing.
start 시작하다 She started crying. She started to cry.
like 좋아하다 I like reading. I like to read.
love 사랑하다, 좋아하다 They love dancing. They love to dance.
hate 싫어하다 I hate waiting. I hate to wait.
continue 계속하다 We continued walking. We continued to walk.
prefer 선호하다 I prefer walking to running. I prefer to walk rather than run.
 

참고: 일반적으로 동명사는 "실제 활동" 느낌,
to부정사는 "미래나 계획" 느낌이 조금 강해요.

 

⚠️ 둘 다 가능하지만 뜻이 달라지는 동사

동사동명사 사용 시 의미to부정사 사용 시 의미예문
remember 과거의 일을 기억하다 앞으로 할 일을 기억하다 I remember locking the door.
I remembered to lock the door.
forget 과거의 일을 잊다 앞으로 할 일을 잊다 I forgot meeting her before.
I forgot to meet her.
try 시험삼아 해보다 노력하다 Try eating less sugar.
Try to eat less sugar.
stop ~하는 것을 멈추다 ~하기 위해 멈추다 He stopped smoking.
He stopped to smoke.
regret ~한 것을 후회하다 ~하게 되어 유감이다 I regret telling you the truth.
I regret to tell you this bad news.

 

문장해석 상세히 설명)

I remember locking the door.

👉 나는 문을 잠갔던 것을 기억해.

  • 이미 문을 잠근 과거의 행동기억하는 것
  • → 잠근 사실을 기억하는 중

I remembered to lock the door.

👉 나는 문을 잠가야 한다는 것을 기억하고 잠갔어.

  • 문을 잠그는 행동을 하기 전에 기억했다는 의미
  • 잠그는 것을 잊지 않았다, 할 일을 기억했다는 뜻

🔍 요약

문장시점의미
I remember locking the door. 과거 문을 실제로 잠근 기억이 있다
I remembered to lock the door. 그때 현재 → 과거 문을 잠가야 한다는 것을 기억해서 실제로 잠갔다

 

I forgot meeting her before.

👉 나는 예전에 그녀를 만난 것을 잊었어.

  • 과거에 만난 사실 자체를 잊어버린 것
  • → 만난 적은 있는데 그 기억이 사라진 상태

 

I forgot to meet her.

👉 나는 그녀를 만나야 한다는 것을 잊었어.

  • 만나기로 한 약속이나 계획을 잊고 실제로 만나지 못한 상황
  • 행동 자체를 하지 않음

 

 

🔍 요약 비교

문장시점의미
I forgot meeting her before. 과거 기억 예전에 만난 사실을 잊었다 (기억 상실)
I forgot to meet her. 현재 → 과거 행동 실패 그녀를 만나야 했는데 잊어버려서 못 만났다

 

Try eating less sugar.

👉 설탕을 덜 먹는 걸 한번 시도해 봐.

  • 새로운 방법이나 습관을 시험 삼아 해보라는 뜻
  • → "이게 효과가 있을지 모르니까 한번 해봐" 라는 느낌

 

Try to eat less sugar.

👉 설탕을 덜 먹으려고 노력해 봐.

  • 목표를 가지고 노력하라는 뜻
  • → "덜 먹는 게 어려울 수 있지만 노력해 봐" 라는 의미

 

🔍 요약 비교

문장의미뉘앙스
Try eating less sugar. 한번 덜 먹어보는 걸 시도해 봐 제안, 실험적인 시도
Try to eat less sugar. 덜 먹으려고 노력해 봐 의지, 노력 강조

 

He stopped smoking.

👉 그는 담배 피우는 것을 끊었어.

  • 담배를 피우는 행동 자체를 멈춘 것
  • → 금연했다는 의미

 

He stopped to smoke.

👉 그는 담배를 피우기 위해 멈췄어.

  • 어떤 일을 하다가 담배를 피우려고 잠깐 멈춘 것
  • → 금연이 아니라, 담배를 피우기 위해 정지한 상황

 

🔍 요약 비교

문장의미상황
He stopped smoking. 담배 피우는 걸 그만뒀다 금연
He stopped to smoke. 담배를 피우기 위해 멈췄다 피우려고 멈춤

 

I regret telling you the truth.

👉 내가 너에게 진실을 말한 것을 후회해.

  • 과거에 말한 행동을 후회하는 것
  • → *"이미 진실을 말했는데, 그걸 후회하고 있다"*는 뜻

 

I regret to tell you this bad news.

👉 이 나쁜 소식을 전하게 되어 유감이에요.

  • 지금 앞으로 말하려는 일에 대해 유감을 표하는 것
  • → *"지금 이 말을 해야 해서 미안하다, 유감이다"*는 공식적 표현

 

 

🔍 요약 비교

문장의미상황
I regret telling you the truth. 진실을 말한 걸 후회한다 이미 한 일에 대한 후회
I regret to tell you this bad news. 이 말을 하게 되어 유감이다 곧 할 말에 대한 공손한 표현
 

 

📌 "regret + -ing" = 과거 행동 후회
📌 "regret + to + 동사" = 공손한 발표, 슬픈/나쁜 소식을 전할 때 사용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