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광고1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6. 15. 12:21
반응형

숫자를 1보다 작은 수로 나누면 오히려 숫자가 더 커지는 현상은 처음에는 헷갈릴 수 있습니다. 그 원리를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나누기는 '그룹화' 혹은 '포함 관계'와 같아요

나누기는 단순히 숫자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어떤 숫자 안에 특정 양이 몇 번 들어가는지를 알아보는 연산입니다.

예를 들어, 10을 2로 나눈다는 것은 "10 안에 2가 몇 번 들어가?"라는 질문과 같습니다. 10은 2로 5번 묶을 수 있으니 답은 5가 되죠. 이 경우에는 나누면 숫자가 작아집니다.

 

 

1/2로 나눈다는 것의 의미

이제 100을 1/2로 나눈다고 생각해 봅시다.

 

이것은 "100 안에 1/2이 몇 번 들어가?"라는 질문과 같습니다.

 

피자 한 조각(1)이 있다고 생각해 보세요. 이 한 조각 안에 **반 조각(1/2)**은 몇 번 들어갈까요? 당연히 두 번 들어갑니다.

마찬가지로, 100이라는 전체 안에 1/2이라는 작은 조각은 아주 많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정확히는 1의 두 배만큼 들어가므로, 100의 두 배인 200번 들어갈 수 있게 되는 것이죠.

 

 

이해를 돕는 비유

  • 빵 나누기: 빵 10개를 2명에게 똑같이 나눠주면 1명당 5개씩 받습니다. (10 ÷ 2 = 5)
  • 작은 조각으로 나누기: 빵 10개를 1/2 조각(반 조각)으로 자르면 총 몇 조각이 될까요? 빵 하나당 2조각이 나오므로, 빵 10개는 총 20조각(10 ÷ 1/2 = 20)이 됩니다.

결국, 나누는 숫자가 1보다 작으면 나눔을 당하는 숫자 안에 그 작은 단위가 훨씬 더 많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더 큰 숫자가 되는 것입니다.

 

반응형

'수학-기초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수란?  (1) 2023.10.18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