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광고1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7. 25. 13:32
반응형

압축을 풀고 사용하면 됩니다. 파일 다운로드 받아서 공부하시면 됩니다.

Picture.zip
1.88MB

 

ITQ 시험을 준비할 때는 한글, 엑셀, 파워포인트 과목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Picture(그림) 파일들이 있습니다.

 

시험 문제에서 특정 이미지를 삽입하라는 지시가 나오는데, 이때 사용되는 이미지 파일들은 시험 주최 기관인 한국생산성본부(KPC)에서 제공하는 예제 파일이나, 시중의 ITQ 교재에서 제공하는 압축 파일 형태로 받을 수 있습니다.

 

시험 공부를 할 때는 보통 교재와 함께 제공되는 그림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내PC > 문서 > ITQ > Picture' 폴더에 미리 넣어두고 연습하게 됩니다. 실제 시험장에서도 이 경로에 그림 파일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ITQ 시험 공부를 시작하신다면, 교재나 온라인 자료실에서 그림 파일을 꼭 받아서 지정된 폴더에 넣어두고 연습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7. 24. 17:26
반응형

옛날버젼이며, 간단히 잠깐동안 FTP서버로 놓고 사용할 때 유용합니다.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기

ALFTP311.exe
2.45MB
ALFTP50.exe
3.60MB

 

 

 

ALFTP 3.11은 널리 사용되던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주로 웹서버에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때 사용됩니다.

ALFTP 3.11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ALFTP 설치 및 실행

  • 다운로드: ALFTP311.exe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공개용은 무료 사용 가능하며, 기업용은 라이센스 구매가 필요합니다.)
  • 설치: 다운로드한 파일을 실행하여 설치를 진행합니다. 설치 과정에서 라이센스 계약 동의, 설치 위치, 시작 메뉴 폴더 등을 선택합니다.
  • 실행: 설치 완료 후 ALFTP를 실행합니다.

2. FTP 서버 접속

ALFTP를 실행하면 FTP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창이 나타납니다. 여기에 다음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 FTP 주소 (호스트 주소/서버 주소): 접속하려는 FTP 서버의 주소를 입력합니다. (예: ftp.yourdomain.com 또는 IP 주소)
  • 사용자 ID (계정): FTP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 ID를 입력합니다.
  • 비밀번호: 해당 사용자 ID의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 포트: 일반적으로 FTP는 21번 포트를 사용하지만, 특별히 다른 포트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포트 번호를 입력합니다.

정보를 입력한 후 '접속' 버튼을 클릭하여 FTP 서버에 연결합니다.

3. 파일 전송 (업로드/다운로드)

성공적으로 FTP 서버에 접속하면 ALFTP 창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 표시됩니다.

  • 왼쪽 창: 로컬 컴퓨터(내 컴퓨터)의 파일 및 폴더 목록을 보여줍니다.
  • 오른쪽 창: 접속한 FTP 서버의 파일 및 폴더 목록을 보여줍니다.

파일 업로드 (내 컴퓨터 -> 서버):

  1. 왼쪽 창에서 FTP 서버로 업로드할 파일을 찾습니다.
  2. 해당 파일을 선택한 후 오른쪽 창의 원하는 위치로 드래그 앤 드롭하거나,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업로드' 옵션을 선택합니다.

파일 다운로드 (서버 -> 내 컴퓨터):

  1. 오른쪽 창에서 내 컴퓨터로 다운로드할 파일을 찾습니다.
  2. 해당 파일을 선택한 후 왼쪽 창의 원하는 위치로 드래그 앤 드롭하거나,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다운로드' 옵션을 선택합니다.

4. 폴더 생성 및 삭제, 파일 이름 변경 등

  • 폴더 생성: 오른쪽(서버) 또는 왼쪽(로컬) 창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새 폴더' 또는 '폴더 생성'과 같은 옵션을 선택하여 새로운 폴더를 만들 수 있습니다.
  • 파일/폴더 삭제: 삭제하려는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삭제' 옵션을 선택합니다. (주의: 서버에서 파일을 삭제할 때는 신중해야 합니다.)
  • 파일 이름 변경: 이름을 변경하려는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이름 바꾸기' 옵션을 선택합니다.

5. 연결 끊기

파일 전송 등의 작업이 완료되면 '연결 끊기' 버튼을 클릭하거나 프로그램을 종료하여 FTP 서버와의 연결을 종료합니다.

팁:

  • ALFTP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므로, 직접 사용해보면서 기능을 익히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만약 FTP 접속이 잘 되지 않는다면, 입력한 FTP 주소, ID, 비밀번호, 포트가 정확한지 다시 한번 확인해보세요.
  • 방화벽 설정으로 인해 FTP 접속이 제한될 수도 있으니, 필요하다면 방화벽 설정을 확인해보세요.

ALFTP 3.11은 오래된 버전이므로, 최신 운영체제에서는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문제가 발생한다면, FileZilla와 같은 다른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고려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7. 23. 21:49
반응형

윈도우11에서도 설치했는데 잘 작동하네요.

옛날 버젼입니다.

 

아래 다운로드 받고 설치하면 됩니다.

winamp512_lite_(윈엠프옛날버젼).exe
0.85MB

 

 

 

Winamp 5.12 Lite 버전은 꽤 오래된 소프트웨어이며, 현재 공식적으로 Winamp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하거나 지원하지 않습니다. 또한, "Lite" 버전은 일반적으로 기능이 최소화되어 있어, 기본적인 음악 재생 외에 특별한 사용법이 많지 않습니다.

따라서, 현재 시점에서 Winamp 5.12 Lite 버전을 직접 설치하고 스크린샷을 찍어서 사용법을 알려드리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대부분의 컴퓨터에서는 최신 운영체제에서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하지만, Winamp의 기본적인 사용법은 버전별로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Winamp 사용법을 텍스트로 설명해 드릴 수는 있습니다. 만약 Winamp 5.12 Lite 버전을 이미 설치하셨거나 사용하고 계시다면, 아래의 설명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Winamp 5.12 Lite 버전의 기본적인 사용법 (사진 없이 텍스트 설명)

Winamp는 매우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어, 몇 가지 주요 기능을 익히면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Winamp 실행 및 인터페이스 이해

  • Winamp를 실행하면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를 볼 수 있습니다:
    • 메인 플레이어 (Main Player): 재생/일시정지, 다음 곡/이전 곡, 볼륨 조절, 시크 바 (재생 위치 조절) 등 기본적인 재생 컨트롤이 있습니다.
    • 재생 목록 (Playlist Editor): 재생할 곡들을 추가하고 관리하는 곳입니다.
    • 미디어 라이브러리 (Media Library): 컴퓨터에 있는 음악 파일을 검색하고 관리하는 기능인데, Lite 버전에서는 이 기능이 제한적이거나 없을 수 있습니다.
    • 이퀄라이저 (Equalizer): 음향 효과를 조절하여 소리를 변경하는 기능입니다.

2. 음악 파일 추가 및 재생

  • 재생 목록에 파일 추가하기:
    • 드래그 앤 드롭 (Drag and Drop): 가장 간단한 방법입니다. 탐색기에서 음악 파일(MP3, WAV 등)을 선택하여 Winamp의 "재생 목록" 창으로 끌어다 놓습니다.
    • 메뉴 사용: Winamp 상단의 메뉴에서 "File (파일)" -> "Add File (파일 추가)" 또는 "Add Folder (폴더 추가)"를 선택하여 음악 파일을 찾아서 추가합니다.
    • '+' 버튼 사용: 재생 목록 하단에 있는 '+' 버튼을 클릭하여 파일을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 음악 재생:
    • 재생 목록에 추가된 곡을 더블 클릭하거나, 해당 곡을 선택한 후 메인 플레이어의 "Play (재생)" 버튼을 클릭하면 음악이 재생됩니다.

3. 기본적인 재생 컨트롤

  • Play (재생) / Pause (일시정지): 음악 재생을 시작하거나 일시적으로 멈춥니다.
  • Stop (정지): 음악 재생을 완전히 멈춥니다.
  • Next (다음 곡) / Previous (이전 곡): 재생 목록의 다음 곡이나 이전 곡으로 넘어갑니다.
  • 볼륨 조절 슬라이더: 소리의 크기를 조절합니다.
  • 시크 바 (Seek Bar): 재생 중인 곡의 특정 위치로 이동할 때 사용합니다. 마우스로 바를 클릭하거나 드래그하여 원하는 시간대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4. 재생 목록 관리

  • 곡 순서 변경: 재생 목록에서 곡을 클릭하여 드래그 앤 드롭으로 순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 곡 삭제: 재생 목록에서 삭제할 곡을 선택한 후 키보드의 'Delete' 키를 누르거나,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후 "Remove (삭제)"를 선택합니다.
  • 재생 목록 저장: 현재 재생 목록을 저장하여 나중에 다시 불러올 수 있습니다. "File (파일)" -> "Save Playlist (재생 목록 저장)"을 선택합니다.

5. 이퀄라이저 사용

  • 이퀄라이저는 소리의 저음, 중음, 고음 등을 조절하여 음색을 변경하는 기능입니다.
  • 이퀄라이저 창을 열고 각 주파수 대역의 슬라이더를 위아래로 움직여 소리를 조절합니다.
  • "Presets (프리셋)" 버튼을 클릭하여 미리 설정된 다양한 음향 효과(Pop, Rock, Dance 등)를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 "On" / "Off" 버튼으로 이퀄라이저 기능을 켜고 끌 수 있습니다.

6. 스킨 변경 (Lite 버전에서는 제한적일 수 있음)

  • Winamp는 다양한 스킨을 지원하여 플레이어의 외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메인 플레이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후 "Skins (스킨)" 메뉴에서 다른 스킨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Lite 버전은 기본 스킨 외에 다른 스킨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7. 설정 (Preferences)

  • Winamp의 다양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메인 플레이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후 "Options (옵션)" -> "Preferences (환경 설정)"을 선택합니다.
  • 여기서 오디오 출력 장치, 파일 연결, 플러그인 등 고급 설정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 오래된 소프트웨어: Winamp 5.12 Lite는 매우 오래된 소프트웨어이므로, 최신 운영체제(Windows 10, 11 등)에서는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부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 보안 문제: 오래된 소프트웨어는 최신 보안 취약점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온라인 기능(만약 있다면) 사용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 대체 소프트웨어: 현재는 Winamp보다 더 최신이거나 기능이 향상된 다양한 음악 재생 프로그램들이 많이 나와 있습니다 (예: VLC Media Player, Foobar2000, AIMP 등).

혹시 Winamp 5.12 Lite 버전을 꼭 사용해야 하는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가요? 아니라면, 최신 운영체제에서 더 안정적이고 기능이 풍부한 다른 음악 플레이어를 사용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7. 23. 03:46
반응형

아래 다운로드 클릭해서 다운 받으면 됩니다.

TrueCrypt Setup 7.0a.exe
3.33MB

 

 

ACOS5/CryptoMate TrueCrypt 초기화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1.   새로운 카드/토큰이 있는 경우 먼저 초기화하세요.

2.   먼저 http://www.truecrypt.org/downloads 에서 최신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TrueCrypt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세요 .

3.   TrueCrypt 메인 메뉴에서 "설정" 선택하고 "보안 토큰..." 클릭하세요. "TrueCrypt - 보안 토큰 기본 설정" 창이 나타납니다그림 2 ).

 

그림 2: 보안 토큰 기본 설정 창

 

1.   "라이브러리 자동 검색" 버튼을 클릭하세요. 시스템에 PKCS 라이브러리가 여러 설치되어 있는 경우 "라이브러리 선택..." 버튼을 클릭하고 Program Files , Advanced Card Systems Ltd. , ACOS5 SDK, Middleware , 그리고 PKCS 폴더  이동하세요 . acospkcs11.dll 파일을 선택하세요.

2.   적절한 PKCS#11 라이브러리를 선택한 "보안 토큰 기본 설정" 대화 상자에서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ACOS5/CryptoMate 사용하여 암호화된 볼륨 만들기

TrueCrypt 설정을 성공적으로 마친 아래 단계에 따라 ACOS5/Cryptomate 사용하여 암호화된 볼륨을 생성하세요.

1.   TrueCrypt 메인 창에서 "볼륨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2.   "TrueCrypt 볼륨 생성 마법사" 팝업됩니다그림 3 ).

 

그림 3: TrueCrypt 볼륨 생성 마법사

1.   볼륨 생성 마법사에서 "암호화된 파일 컨테이너 만들기" 옵션을 선택하고 "다음" 클릭합니다.

2.   볼륨 유형 " 선택에서 "표준 TrueCrypt 볼륨" 옵션을 클릭하고 "다음" 클릭합니다.

볼륨 위치 " 선택에서 TrueCrypt 볼륨을 생성할 파일을 선택하세요. 대화 상자의 경고그림 4 ) 반드시 읽어보세요. 원하는 파일을 선택했으면 "다음" 선택하세요

그림 4: TrueCrypt 볼륨 생성 마법사, 볼륨 위치 선택

 

1.   다음으로 볼륨의 "암호화 옵션" 선택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기본 설정을 그대로 두고 "다음" 클릭하세요.

다음으로, 원하는 볼륨 크기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원하는 볼륨 크기를 지정했으면 "다음" 클릭하세요. 여기서 지정하는 크기는 5단계에서 생성한 파일에 할당된 공간이 됩니다그림 5 ).

그림 5: 볼륨에 원하는 크기를 지정합니다.

 

다음으로, 볼륨 비밀번호와 (선택 사항) TrueCrypt 볼륨 암호화/복호화에 사용할 파일을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원하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 파일 사용" 확인란을 선택하세요. 파일을 사용하면 파일을 ACOS5/CryptoMate 기기에 안전하게 저장할 있습니다그림 6 ).

그림 6: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키파일 사용" 옵션을 선택하세요.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 파일 사용" 선택한 " 파일..." 버튼을 클릭하세요. "TrueCrypt - 파일" 나타납니다그림 7 ). 단계에서 입력한 비밀번호를 기억해 두세요

그림 7: TrueCrypt 키파일 창.

 

파일에 사용할 파일을 선택할 있습니다( 그림 7 참조 ). 또한, "임의 파일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원하는 파일을 직접 생성할 있습니다. "TrueCrypt 파일 생성기" 나타납니다. " 파일 생성 저장..." 버튼을 클릭하세요. 무작위로 생성된 파일을 하드 드라이브의 임시 파일에 저장하세요. 저장이 완료되면 확인 창이 나타납니다그림 8 ).

그림 8: 임의로 자신의 키 파일을 생성합니다.

 

1.   무작위로 생성된 파일을 저장한 "TrueCrypt 파일 생성기"에서 "닫기" 버튼을 클릭하세요.

2.   "TrueCrypt - 파일" 대화 상자에서 "토큰 파일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메시지가 표시되면 ACOS5/CryptoMate 사용자 PIN 입력하세요. ( 그림 9 )

그림 9: 메시지가 표시되면 ACOS5/CryptoMate 사용자 PIN을 입력하세요.

 

 

1.   PIN 검증에 성공하면 "보안 토큰 파일 선택" 대화 상자가 나타납니다.

2.   "보안 토큰 파일 선택" 대화 상자에서 "토큰으로 파일 가져오기" 클릭합니다. 10단계 에서 생성하고 저장한 파일을 선택합니다

3.   선택하면 확인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 보안 토큰 파일 속성" 대화 상자에서 "확인" 클릭하세요.

잠시만 기다려 주세요. 파일의 크기에 따라 시간이 다소 소요될 있습니다. 파일이 저장되면 선택할 있습니다. ( 그림 10  그림 11 )

 

그림 10: 키 파일 이름을 설정하거나 기본값을 그대로 두고 "확인"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림 11: 키파일은 이제 ACOS5/CryptoMate 토큰에 저장되었습니다.

 

 

새로 생성된 파일을 선택하고 "확인" 클릭하세요. 이제 파일 목록에 파일이 표시됩니다그림 12 ).

그림 11: 목록에 새로 생성된 키파일.

 

1.   "확인" 선택하면 이제 "TrueCrypt 볼륨 생성 마법사" 돌아갑니다.

2.   "TrueCrypt 볼륨 생성 마법사"에서 "다음..." 클릭합니다.

다음 대화 상자에서 TrueCrypt 볼륨을 포맷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포맷" 버튼을 클릭하고 포맷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세요. 포맷은  7단계 에서 지정한 볼륨 크기에 따라 시간이 걸릴 있습니다그림 12 ).

그림 12: TrueCrypt 볼륨이 포맷되고 있습니다.

 

 

볼륨을 성공적으로 포맷하면 이제 볼륨이 생성되어 사용할 있습니다그림 13 ). "다음" 클릭한 "종료" 클릭하세요.

그림 12: TrueCrypt 볼륨이 포맷되고 있습니다.

 

1.   이제 암호화된 볼륨을 만들었으므로 10단계에서 생성한 파일을 삭제할 있습니다.

TrueCrypt 볼륨을 마운트/마운트 해제합니다.

암호화된 볼륨을 생성했으면 이제 볼륨을 마운트/마운트 해제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마운트/마운트 해제할 있습니다. 암호화된 볼륨을 마운트/마운트 해제하는 방법은 아래를 참조하세요.

1.   TrueCrypt 메인 창을 엽니다그림 1 )

2.   TrueCrypt 메인 창에서 "파일 선택" 버튼을 클릭합니다.

3.   단계에서 만든 파일을 저장한 폴더로 이동합니다.

"마운트" 버튼을 클릭하세요. "암호 입력" 대화 상자에 볼륨 암호를 입력하세요. " 파일 사용" 옵션도 선택하세요. ( 그림 13 )

그림 13: TrueCrypt 비밀번호 대화 상자.

 

1.   TrueCrypt 비밀번호 대화 상자에서 " 파일..." 버튼을 클릭하세요. "TrueCrypt 파일" 나타납니다(  그림 7 ).

2.   "토큰 파일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3.   메시지가 표시되면 ACOS5/CryptoMate 사용자 PIN 입력하세요. ( 그림 9 )

4.   "보안 토큰 파일 선택" 창이 나타납니다그림 11 ). 여기서 볼륨을 마운트하는 사용할 적절한 파일을 선택할 있습니다.

5.   적절한 키파일을 선택하고 "확인" 클릭합니다.

6.   "TrueCrypt 파일" 대화 상자 창에서 이전 단계에서 선택한 파일을 선택하고 "확인" 클릭합니다.

마운트 프로세스는 시간이 다소 걸릴 있습니다. 마운트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이제 TrueCrypt 창에서 마운트된 볼륨을 있습니다그림 14 ).

그림 14: 마운트된 TrueCrypt 볼륨.

 

TrueCrypt 볼륨이 성공적으로 마운트되면 일반 볼륨이나 하드 디스크 파티션과 비슷하게 액세스할 있습니다그림 15 ).

그림 15: "내 컴퓨터"에 표시된 마운트된 TrueCrypt 볼륨.

 

TrueCrypt 볼륨을 마운트 해제하려면 TrueCrypt 메인 창에서 마운트 해제할 볼륨을 선택하세요. "마운트 해제" 버튼을 선택하면 볼륨이 제거되고 모든 내용이 안전하게 저장됩니다그림 14 ).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7. 16. 03:17
반응형

※ 다운로드를 받고 설치하면 됩니다.

DaumPotEncoder.exe
14.69MB

 

 

 

다음팟인코더(PotEncoder)는 무료 인코딩·편집 프로그램으로, 사용법은 크게 설치 → 인코딩 → 편집 세 단계로 나뉘며, 아래에서 그림과 함께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1. 설치

  1. 공식 또는 신뢰할 수 있는 블로그 등에서 DaumPotEncoder.exe를 다운로드합니다 .
  2. 설치 마법사를 실행 후 약관 동의, 구성요소 선택(시작페이지/클리너 제외), 설치 경로 지정 → 마침 클릭 .
  3. 설치가 완료되면 바탕화면 아이콘이나 시작 메뉴를 통해 실행할 수 있습니다 .

 

2. 인코딩(파일 형식 변환)

  1. ‘불러오기’ 버튼 클릭 또는 파일 드래그하여 변환할 동영상 불러오기 .
  2. 하단 탭에서 기기 또는 용도에 따라 프리셋 선택 (예: 웹용, PC 저장용, 모바일) .
  3. 필요시 환경설정 → 사용자 설정 → 세부설정 클릭하여:
    • 컨테이너(MP4, AVI 등)
    • 비디오 코덱(H.264), 오디오 코덱(AAC)
    • 해상도 (예: 1280×720, 비율 유지 체크)
    • 비트레이트 또는 품질(VBR) 등 설정
      .
    예: 고화질 아카이브용 H.264, 1PASS-VBR, 비디오 품질값 65~100, 리사이즈 필터 LANCZOS 추천 .
  4. 저장될 폴더 및 파일 이름 확인 후 인코딩 시작 클릭. 완료되면 알림창이 뜨고, 폴더 열기로 결과 확인 .
  5. DTS 오디오 트랙이 있는 경우, 버전에 따라 지원 여부가 다르니 주의하세요 .

 

3. 동영상 편집

  1. ‘편집’ 모드 선택 후 불러오기 → 타임라인으로 드래그하여 영상 추가 .
  2. 필요 구간 자르기(Crop), 분할, 병합, 자막·로고·텍스트·엔딩/오프닝 추가 가능 .
    • 픽셀 잘라내기(crop): 상하좌우 자를 영역 지정 후 원하는 비율로 출력할 수 있어 특정 부분만 뽑기 쉬워요 .
  3. 편집이 끝나면 인코딩 모드에서 설정 확인 → 인코딩 시작 클릭하여 편집 영상 파일로 저장 .

 

◆ 팁 모음

  • Direct Stream Copy: 코덱 변경 없이 영상 분할·병합만 할 경우 이 옵션 사용하면 빠르고 손실 없이 처리됩니다 .
  • 프리셋 저장: 자신만의 설정은 환경설정에서 만들어서 ‘내 설정 추가’로 저장 가능 .
  • 해상도와 비율 조정: 해상도 변경 시 리사이즈 옵션 설정, 비율 유지를 선택하면 영상 왜곡 없이 깔끔하게 변환됩니다 .

 

◆ 흐름 정리

  1. 설치 → 실행
  2. 불러오기 → 프리셋 또는 상세옵션 설정
  3. Crop/편집 → 인코딩 시작 → 결과 확인

 

다음팟인코더(PotEncoder)를 이용해서 동영상에서 음원만 추출하여 MP3 파일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아래에 단계별로 사용법을 알려드릴게요.

 

 

 

◆ 동영상에서 음성만 추출하여 MP3로 저장하는 방법

1단계: 프로그램 실행 및 파일 불러오기

  • 다음팟인코더 실행
  • [불러오기] 버튼을 클릭하거나 동영상을 프로그램 창에 드래그 앤 드롭 합니다

 

2단계: 오디오만 추출 설정

  1. 하단의 [인코딩 설정] → [환경설정] 클릭
  2. 상단 탭에서 [오디오만 추출] 선택
  3. 아래와 같이 설정:
    • 오디오 코덱: MP3
    • 비트레이트: 128kbps ~ 320kbps (높을수록 고음질)
    • 샘플레이트: 44100Hz (기본값 그대로 두면 무방)
    • 채널: 스테레오

 

3단계: 저장 위치 및 파일 이름 설정

  • 하단에서 저장 경로 확인 또는 변경
  • 파일 이름 자동 지정되지만 원하는 경우 수정 가능

 

4단계: 인코딩 시작

  • 모든 설정 완료되었으면, 하단의 [인코딩 시작] 버튼 클릭
  • MP3 추출 완료되면 알림창과 함께 저장된 위치 열 수 있음

 

결과

🎧 영상에서 추출한 MP3 음원이 별도로 저장됩니다.
음질은 원본 영상의 음질에 따라 결정되며, 고음질 영상을 사용할수록 결과도 좋습니다.

 

 

TIP

  • 일부 영상에서 노이즈가 많은 경우, 사운드 필터 설정에서 노이즈 감소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다수 파일 일괄 변환도 가능합니다. 여러 개 동영상 파일을 불러온 뒤 동일 방식으로 처리하면 됩니다.

 

 

◆ 단계별 사용법

1️⃣ 동영상 불러오기

2️⃣ 인코딩 설정 – 오디오 추출용 선택

3️⃣ 세부 설정 – 비트레이트 등 조정

4️⃣ 저장 위치 및 인코딩 시작

  • 저장 폴더와 파일 이름을 확인한 뒤, [인코딩 시작] 버튼을 눌러 변환을 시작합니다.
  • 완료되면 알림이 뜨며, **“폴더 열기”**를 클릭해 바로 결과 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TREND WAY+6NAVERSOFT+6Wondershare+6

 

◆ 요약 흐름

  1. 불러오기
  2. PC 저장용 → 오디오 추출용 → MP3 선택
  3. 세부설정(비트레이트 등)
  4. 인코딩 시작 → 완성된 MP3 저장

 

◆ 팁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5. 15. 02:44
반응형

(사용법 체크 및 수정)----(    )

rufus-4.7----(부팅용USB만들기)

rufus-4.7----(부팅용USB만들기).exe
1.61MB

 

 

Rufus 4.7은 부팅 가능한 USB 드라이브를 만드는 데 사용하는 무료 유틸리티 프로그램입니다. 특히 운영체제 설치용 USB를 만들 때 많이 사용되죠.


✅ Rufus 4.7 주요 용도:

🔹 부팅 가능한 USB 만들기

  • Windows, Linux, Ubuntu, etc. 설치 ISO를 이용해 부팅 가능한 USB 제작

🔹 UEFI/BIOS 호환 지원

  • UEFI 또는 Legacy BIOS 방식 모두 지원 (설정 가능)

🔹 다양한 포맷 옵션

  • USB를 FAT32, NTFS, exFAT 등으로 포맷 가능
  • 파일 시스템 및 파티션 구성 설정 가능

💡 Rufus로 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작업:

작업설명
💽 Windows 설치 USB 만들기 ISO 파일로 부팅 USB 제작 가능
🐧 Linux 부팅 USB 만들기 Ubuntu, Fedora 등 ISO로 제작
🔧 디스크 복구 도구 USB 만들기 Memtest86, Clonezilla 등 사용 가능
📦 DOS 또는 FreeDOS USB 펌웨어 업데이트용 DOS 부팅 디스크 등
 

🔒 Rufus 4.7 특징:

  • 가볍고 설치 없이 실행 가능 (무설치 버전도 있음)
  • ISO 파일 자동 인식 및 최적 설정 추천
  • 빠르고 안정적인 USB 제작 속도

Rufus 4.7을 사용해서 부팅 가능한 USB를 만드는 방법을 아주 쉽게 단계별로 설명드릴게요. 이건 주로 Windows 설치 USB를 만들 때 사용되지만, Linux나 기타 부팅 이미지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 Rufus 4.7으로 부팅 USB 만드는 방법

✅ 준비물

  • USB 메모리 (8GB 이상 권장, 안의 데이터는 모두 삭제됨)
  • 부팅용 ISO 파일 (예: Windows10.iso, Ubuntu.iso 등)
  • Rufus 4.7 다운로드 후 실행

✅ 단계별 설명

1. Rufus 실행

  • 설치 필요 없음, rufus-4.7.exe 더블 클릭해서 실행

2. USB 장치 선택

  • 상단의 "장치"(Device) 항목에서 부팅용으로 만들 USB를 선택
    예: SanDisk 16GB

3. ISO 파일 선택

  • “부트 선택”(Boot selection) → [선택] 버튼 클릭
  • 준비한 ISO 파일 선택 (예: Windows10.iso)

4. 파티션 방식 & 대상 시스템 선택

  • 자동으로 설정되지만, 확인은 해보세요:
설정 항목설명
파티션 방식 대부분은 GPT (UEFI) 선택
구형 PC는 MBR (BIOS 또는 UEFI) 선택
대상 시스템 자동으로 맞춰짐 (UEFI or BIOS)
 

5. 파일 시스템 및 볼륨 레이블 설정 (기본값 사용 OK)

  • 파일 시스템: 보통 FAT32 또는 NTFS 자동 설정됨
  • 볼륨 레이블: USB 이름 (원하는 대로 적어도 됨)

6. [시작] 버튼 클릭

  • 경고창이 뜹니다:
  • 💥 "USB의 모든 데이터가 삭제됩니다."
  • 확인 후 [확인] 클릭

7.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기

  • 진행 막대가 100%가 되면 완료 메시지가 나옵니다:
  • ✅ "READY" 또는 "완료됨"

🎉 이제 USB는 부팅 가능한 상태입니다!

  • 이 USB를 PC에 꽂고 부팅하면, Windows 설치나 Linux 실행 등이 가능합니다.
  • 부팅하려면 BIOS/UEFI에서 USB 부팅을 선택해야 합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5. 15. 02:44
반응형

(사용법 체크하기)----(    )

ImgBurn-프로그램----(ISO만드는프로그램)

 

korean.zip
0.02MB
SetupImgBurn_2.5.8.0.exe
2.96MB

 

 

ImgBurn은 ISO 파일을 포함한 다양한 디스크 이미지 파일을 굽거나 생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단순히 ISO를 만드는 것만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 ImgBurn 주요 기능:

  1. ISO 파일 굽기
    • ISO 파일을 CD/DVD/Blu-ray 디스크로 굽기
  2. 디스크에서 ISO 이미지 만들기
    • 실제 CD/DVD/Blu-ray 디스크를 ISO 이미지 파일로 만들 수 있음
  3. 폴더나 파일을 ISO 이미지로 만들기
    • 하드 디스크에 있는 폴더나 파일들을 선택해서 ISO 파일로 생성 가능
  4. ISO 파일을 탐색하고 검증
    • 이미지 파일이 정상적인지 검증 가능
  5. 복사 기능
    • 한 디스크를 다른 디스크로 복사할 수 있음 (이미지 파일을 거쳐서)

✅ 정리하면:

ImgBurn은 단순한 ISO 만들기 프로그램이 아니라, 디스크 이미지 관련된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는 툴입니다.
특히 ISO 파일을 만들거나 구울 때 많이 사용됩니다.

 

 

🛠 ImgBurn으로 ISO 파일 만드는 방법 (폴더 → ISO)

✅ 준비물:

  • ImgBurn 프로그램 설치
  • ISO로 만들고 싶은 폴더나 파일

✅ 단계별 설명:

1. ImgBurn 실행

  •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여러 가지 메뉴가 보입니다.

2. “Create image file from files/folders” 선택

  • “폴더/파일로부터 이미지 파일 만들기”를 뜻합니다.
  • 아래 아이콘처럼 생긴 버튼입니다:
    📁➡️💿

3. 소스(파일/폴더) 추가

  • "Source" 옆에 있는 돋보기 버튼(또는 “Browse for a folder”)을 눌러 ISO로 만들고 싶은 폴더나 파일을 추가합니다.

4. 저장 위치 지정

  • "Destination"에서 ISO 파일이 저장될 위치와 이름을 지정합니다.
    예: D:\MyISO\windows_backup.iso

5. 설정 확인 (선택 사항)

  • 특별한 설정이 없다면 기본 설정으로도 충분합니다.
  • “Options” 탭에서 파일 시스템(ISO9660/UDF 등)을 바꿀 수도 있지만, 보통은 기본값 그대로 OK.

6. 시작 버튼 클릭

  • 아래에 있는 큰 버튼, CD에서 화살표 나가는 아이콘입니다:
    💿➡️📄
  • 클릭하면 ISO 파일 생성이 시작됩니다.

7. 완료

  • 작업이 끝나면 “Operation Successfully Completed!” 메시지가 나옵니다.

🎉 결과:

이제 선택한 폴더나 파일이 하나의 ISO 이미지 파일로 저장됩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4. 1. 1. 22:50
반응형

유틸프로그램 구글 드라이브 공유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uGCKskxco0MXuFO7lU8GsN4YTSF6p-8L?usp=sharing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