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광고1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5. 18. 17:48
반응형

AI의 약어 "ChatGPT"에서 GPT는 다음을 의미합니다.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각 단어를 풀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Generative (생성형): 새로운 텍스트(문장, 답변, 이야기 등)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뜻입니다. 단순히 정해진 답을 고르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문장을 생성합니다.
  • Pre-trained (사전 학습된): 먼저 대규모 데이터(책, 웹사이트 등)로 학습한 뒤, 특정 작업(예: 질문 답변, 번역 등)에 맞게 추가로 훈련됩니다.
  • Transformer (트랜스포머): 자연어 처리를 위한 딥러닝 모델의 한 종류입니다. 구글이 2017년에 발표했으며, 현재 대부분의 최신 언어 AI 모델의 기반이 됩니다.

즉, ChatGPT는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훈련된 생성형 언어 모델"입니다.

 

 

 

자세히 풀어서 설명하면,

 

🔍 GPT란 무엇인가요?

GPT는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의 줄임말이에요.

  • Generative (생성형): 새로운 문장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뜻이에요. 질문을 하면 대답을 만들고, 글을 써달라 하면 글을 만들어줍니다.
  • Pre-trained (사전 학습된): 미리 많은 데이터를 가지고 공부한 모델이에요. 책, 웹사이트, 뉴스 등 다양한 문장을 보며 언어를 배웠어요.
  • Transformer (트랜스포머): 문장의 의미를 잘 이해하고 처리하기 위한 뇌 구조(모델 구조의 이름)입니다. 구글이 만든 기술이에요.

 

 

🧠 어떻게 작동하나요?

  1. 사전 학습 (Pre-training)
    GPT는 먼저 인터넷에 있는 방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통해 언어의 패턴, 문법, 의미 등을 배웁니다. 예를 들어, "하늘이 파란 이유는"이라는 문장을 보면, 그 다음에 "햇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같은 문장이 자주 나온다는 걸 학습해요.
  2. 추론 (Inference)
    학습이 끝난 GPT는 질문을 받으면, 그에 어울리는 가장 자연스럽고 논리적인 답변을 만들어냅니다.
  3. 문맥 이해
    GPT는 이전 문장들을 참고해서 상황에 맞는 답변을 하려고 해요. 예를 들어, 앞에서 "봄" 얘기를 했다면, 꽃, 날씨 같은 주제를 더 잘 떠올릴 수 있어요.

 

 

✅ GPT의 장점

  1. 다양한 언어 작업 가능
    질문 답변, 글쓰기, 번역, 요약, 문법 수정 등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어요.
  2. 사람처럼 자연스러운 말투
    챗GPT는 대화체로도 자연스럽게 대답할 수 있어서, 사람과 대화하는 느낌을 줄 수 있어요.
  3. 빠른 반응
    원하는 정보를 몇 초 안에 제공해줍니다.

 

 

⚠️ GPT의 한계

  1. 지식의 최신성
    GPT는 학습 시점까지의 정보만 알고 있어서 최신 뉴스나 사건은 모를 수 있어요. (단, 최신 GPT는 인터넷 검색과 연동되기도 해요.)
  2. 사실 오류
    그럴듯하게 틀린 정보를 말할 때도 있어요. 항상 100% 정확하진 않기 때문에 검증이 필요합니다.
  3. 이해보다는 예측
    진짜로 "이해"하는 게 아니라, 단어의 다음 위치를 예측하는 방식이에요. 그래서 인간처럼 깊은 의도나 감정까지 완벽하게 이해하진 못해요.

 

 

🔚 정리하면

GPT는 미리 언어를 배운 AI 뇌로, 우리가 하는 말을 이해하고 자연스럽게 대답을 만들어주는 기술이에요. 장점은 다양하고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하다는 것이고, 한계는 아직 완벽하게 정확하지는 않다는 점입니다.

 

 

🧠 GPT를 사람의 공부에 비유해볼게요!

📘 비유: GPT는 엄청난 책벌레 학생이에요.

 

 

🧑‍🎓 GPT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단계사람GPT

 

1. 공부하기 책, 기사, 대화문을 많이 읽어요. 인터넷에 있는 문장을 엄청나게 많이 읽어요.
2. 문장 패턴 익히기 "안녕하세요" 뒤엔 "반갑습니다"가 자주 나오네! 문장 흐름과 단어 연결 방식을 통계적으로 배워요.
3. 대답해보기 누가 물어보면 머릿속에서 적절한 말을 골라 대답해요. 받은 질문을 보고 가장 그럴듯한 문장을 만들어내요.
 
 

🎨 그림으로 표현하면?

 

GPT는 마치 퍼즐을 맞추듯, 입력된 문장에 이어질 가장 적절한 말을 만들어내요!

 

📌 쉬운 예시

예시 1: 질문 답변

사용자: 고양이는 왜 낮에 잘 자요?
GPT: 고양이는 야행성 동물이기 때문에 낮에는 휴식을 취하고, 밤에 더 활발하게 움직입니다.

→ GPT는 이 질문을 보고 과거 배운 내용 중에서 가장 적절한 정보를 골라서 문장을 만들어내요.

 

 

예시 2: 이어말하기

입력 문장: 오늘은 날씨가 너무 좋아서
GPT 출력: 공원에 산책을 다녀왔다.

→ GPT는 “오늘은 날씨가 너무 좋아서” 다음에 나올 확률이 높은 말을 예측한 거예요.

 

 

예시 3: 그림으로 직관적으로 표현

 

 

✅ 요약

  • GPT는 말의 흐름을 배워서 다음 말을 예측하는 똑똑한 예측기예요.
  • 진짜로 생각하거나 이해하진 않지만, 엄청난 언어 데이터를 통해 그럴듯하게 말할 수 있어요.

그림처럼 생각 흐름을 따라가면 GPT의 작동 원리를 쉽게 알 수 있어요!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5. 18. 11:26
반응형

✅ MAC 주소란?

MAC 주소는 네트워크 장비의 주민등록번호 같은 거예요.
인터넷 선이나 와이파이에 연결되는 모든 장비(노트북, 스마트폰, 공유기)는
자신만의 고유한 MAC 주소를 가지고 있어요.


🌐 인터넷 쓸 때 MAC 주소는 어디에 쓰이나요?

📍 1. 같은 네트워크 안에서 기기를 구분할 때 사용돼요

예를 들어:

  • 집에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이 모두 와이파이에 연결되었을 때
  • 공유기(또는 DHCP 서버)는 MAC 주소를 보고 "어떤 기기인지" 알아냅니다
  • 그리고 각각에게 IP 주소를 나눠줍니다

📦 예시:

기기MAC 주소할당된 IP 주소
노트북 00:1A:2B:AA:BB:CC 192.168.0.10
스마트폰 00:1A:2B:DD:EE:FF 192.168.0.11
 

공유기는 MAC 주소를 보고 기기를 기억하고 IP 주소를 정해줍니다.


📍 2. 데이터를 올바른 기기로 보내기 위해 사용돼요

LAN(로컬 네트워크) 안에서 데이터를 보낼 땐:

  • "이 IP 주소를 가진 기기의 MAC 주소가 뭐지?" 하고 알아낸 다음,
  • MAC 주소를 보고 데이터를 정확히 보냅니다.

➡ 이걸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이라는 방식으로 처리해요.


🔍 정리하면:

항목MAC 주소IP 주소
의미 장비 고유번호 (하드웨어) 인터넷 주소 (소프트웨어)
변경 가능성 보통 바뀌지 않음 자주 바뀜 (유동 IP)
사용 위치 로컬 네트워크 내부에서 사용 전 세계 인터넷에서 사용
사용 목적 기기 식별 위치 식별 및 데이터 전송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5. 18. 11:25
반응형

MAC 주소(MAC Address)는 네트워크 카드(또는 무선 랜카드 등)가 공장에서 만들어질 때 물리적으로 할당됩니다.

 

 

✅ MAC 주소란?

  • Media Access Control Address의 약자
  • 12자리의 16진수 (예: 00:1A:2B:3C:4D:5E)
  • 네트워크 장치(유선 랜카드,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에 고유하게 부여
  • 전 세계에서 유일해야 함

 

✅ 누가 할당하나요?

  • IEEE(국제 전기전자기술자 협회)가 전 세계 제조업체에 MAC 주소 범위를 분배합니다.
  • 예: 삼성, 인텔, LG 등은 각각 자신만의 범위(OUI: Organizationally Unique Identifier)를 부여받음
  • 제조사는 이 범위 안에서 장비마다 서로 다른 MAC 주소를 자동으로 넣음

 

 

📌 예시:

MAC 주소: 00:1A:79:4B:23:5F

  • 00:1A:79 → 인텔의 OUI (제조사 식별)
  • 4B:23:5F → 제조사가 생성한 고유 번호

 

 

💡 추가로:

  • MAC 주소는 원래는 변경 불가한 하드웨어 주소지만,
  •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위장)할 수도 있습니다 (MAC Spoofing)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5. 18. 11:21
반응형

컴퓨터는 분명 유동 IP(DHCP) 를 사용하는데, 매번 같은 IP 주소를 받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이유: DHCP 서버가 임시로 IP를 "기억"하고 재할당하기 때문입니다.

공유기(또는 DHCP 서버)는 각 컴퓨터의 MAC 주소(네트워크 장비 고유 ID)를 기억하고,
이전에 할당했던 IP를 가능하면 다시 주려고 합니다. 이것을 "DHCP 임대(Lease)"라고 해요.

예시:

  1. 컴퓨터가 IP를 자동으로 받음 → 192.168.0.10
  2. DHCP 서버는 "이 MAC 주소는 192.168.0.10 썼었지!" 하고 기억함
  3. 다음에 다시 켜도 같은 주소를 줄 수 있음 (다른 기기와 충돌 안 날 경우)

📌 하지만 이것은 "진짜 고정 IP"는 아님

  • 다른 기기가 먼저 그 IP를 차지하면 → 다른 IP를 받을 수도 있음
  • 공유기 초기화되면 → 기억이 사라짐
  • DHCP 임대 시간이 만료되면 → 바뀔 수도 있음

💡 항상 같은 IP를 원한다면?

  • 공유기 설정에서 "IP 주소 예약" 또는 "DHCP 고정 할당" 기능 사용
    • MAC 주소를 기준으로 항상 같은 IP를 주도록 설정 가능
  • 또는 컴퓨터에서 수동으로 고정 IP 설정 (주의: 충돌 위험 있음)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5. 18. 03:38
반응형

 

🧰 MCU란?

✅ MCU (Microcontroller Unit) = 작은 컴퓨터 칩

👉 작고 똑똑한 칩 하나가
👉 CPU(두뇌) + 메모리 + 센서 제어 기능
👉 한꺼번에 전부 갖고 있는 것이에요.

 

 

🎯 MCU는 어디에 쓰일까요?

MCU는 이렇게 우리 일상 속 작은 전자기기들을 똑똑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해요:

  • 전자시계 ⏰
  • 전자레인지 🍲
  • 리모컨 📺
  • 세탁기 🧺
  • 자동문 🚪
  • 자동차 속 센서 🚗
  • 아두이노 보드 🤖

 

💡 쉬운 비유

MCU는 작은 로봇 친구처럼
혼자서 생각도 하고, 기억도 하고, 버튼도 누르고, 불도 켜줄 수 있어요.

 

 

📦 MCU 내부 구성 (그림)


▲ MCU 내부 구조 – 하나의 칩 안에 모든 기능이 들어있어요

  • CPU: 계산, 판단
  • 메모리 (RAM, ROM): 기억
  • 입출력 포트 (I/O): 버튼이나 LED와 연결
  • 타이머, ADC: 센서 처리 등

 

 

 

 

[MCU는 작은 컴퓨터이다!]

앞서 MCU를 "작은 CPU"라고 비유하였지만, 사실상 MCU는 "작은 컴퓨터"라고
표현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그 이유는 MCU의 내부 구조를 보면 이해할 수 있는데요,
다음은 x86과 같은 일반 PC와 우리가 배울 AVR MCU의 구성을 비교한 표입니다.

 

이처럼 일반 PC와 MCU의 구성을 놓고 보면 별 차이가 없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차이점이 하나 있는데, 그것은 바로 위 장치들의 위치입니다.

 

위 그림에서와 같이 일반 PC는 메인보드라는 커다란 장치 위에 다양한 장치들이 각각 
별개의 칩으로 존재하는 반면, MCU엔 각종 장치들이 단 하나의 칩 안에 모두 
옹기종이 모여있는 구조입니다.

이처럼 컴퓨터의 기능을 하는 장치들이 하나의 칩에 집적회로(IC)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One-chip, On-chip, Single-chip 등으로 부르며, 하나의 칩 안에 필요한 것들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고, 전력 소비가 적으며, 조립과정 단순화를 통한 제조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정리하면, MCU 그 자체가 하나의 작은 메인보드+주변장치들의 모임인 셈이며, 
그렇기 때문에 MCU 하나의 칩만으로도 기본적인 동작을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 같은 특징 때문에 MCU를 "소형 컴퓨터"라고 표현하는 것이 가능한 것입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5. 18. 03:19
반응형

MCU, MPU, CPU의 차이를 쉽고 간단하게 설명해 드릴게요.
비유를 사용해서 설명하면 더 이해가 쉬울 거예요.

 

 

💡 먼저 각 용어의 뜻부터 간단히:

  • CPU (Central Processing Unit): 컴퓨터의 두뇌. 계산하고 명령을 처리함.
  • MCU (Microcontroller Unit): 작은 컴퓨터. 센서나 작은 기계를 제어함.
  • MPU (Microprocessor Unit): CPU와 비슷하지만, 외부 장치에 의존하는 좀 더 복잡한 두뇌.

 

 

🏠 비유로 쉽게 설명하면:

🎓 CPU는 "두뇌"

  • 사람으로 치면 생각하고 판단하는 능력만 있음.
  • 밥도 먹여줘야 하고, 옷도 입혀줘야 일함.
    ➡️ 그래서 주변에 메모리, 저장장치 등 여러 부품이 필요함.

🧰 MCU는 "작은 스마트 기기"

  • 혼자서 모든 걸 할 수 있는 작은 컴퓨터
  • 두뇌(CPU) + 메모리 + 저장장치 + 센서 제어 기능까지 한 칩에 다 들어있음
    ➡️ 예: 전자레인지, 냉장고, 시계에 들어가는 칩

🏢 MPU는 "전문가가 일하는 사무실"

  • CPU와 비슷하지만, 더 강력하고 복잡한 일 처리용
  • 하지만 메모리, 저장장치, 입출력 장치는 외부에 따로 있어야 함
    ➡️ 예: 스마트폰, 컴퓨터

 

 

📊 비교표로 정리

항목CPUMCUMPU
기능 계산과 처리만 함 계산 + 주변장치 제어까지 다함 계산만 하고 외부 장치에 의존
구성 단순 두뇌 두뇌 + 메모리 + 입출력 포함 두뇌 + 외부 메모리 필요
사용처 컴퓨터, 서버 가전제품, 시계, 자동차 부품 등 스마트폰, 고성능 기기 등
예시 인텔 Core i7 등 아트메가328(아두이노), STM32 등 ARM Cortex-A 시리즈 등
 

🧰 MCU (Microcontroller Unit) – 마이크로컨트롤러

예시: Atmel ATmega328P (Arduino Uno에 사용)


👉 이 작은 칩 하나에 CPU + 메모리 + 입출력 기능이 다 들어있어요.
👉 전자시계, 전자레인지, 장난감, 센서제어 등에서 사용됨.

 

 

🧠 MPU (Microprocessor Unit) – 마이크로프로세서

예시: ARM Cortex-A9


👉 계산 능력이 뛰어나고, 외부 메모리와 저장장치가 꼭 필요함.
👉 스마트폰, 태블릿,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에 사용됨.

 

 

🖥️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일반 컴퓨터용 중앙처리장치

예시: Intel Core i7 CPU


👉 컴퓨터나 노트북에서 사용. 연산 능력이 매우 뛰어나지만 단독으로는 동작 못함.
👉 주변 장치(RAM, SSD, 그래픽카드 등)가 꼭 필요함.

🧰 MCU (Microcontroller Unit) – 마이크로컨트롤러

예시: Atmel ATmega328P (Arduino Uno에 사용)


👉 이 작은 칩 하나에 CPU + 메모리 + 입출력 기능이 다 들어있어요.
👉 전자시계, 전자레인지, 장난감, 센서제어 등에서 사용됨.

 

 

🧠 MPU (Microprocessor Unit) – 마이크로프로세서

예시: ARM Cortex-A9


👉 계산 능력이 뛰어나고, 외부 메모리와 저장장치가 꼭 필요함.
👉 스마트폰, 태블릿,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에 사용됨.

 

 

🖥️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일반 컴퓨터용 중앙처리장치

예시: Intel Core i7 CPU


👉 컴퓨터나 노트북에서 사용. 연산 능력이 매우 뛰어나지만 단독으로는 동작 못함.
👉 주변 장치(RAM, SSD, 그래픽카드 등)가 꼭 필요함.

🧰 MCU (Microcontroller Unit) – 마이크로컨트롤러

예시: Atmel ATmega328P (Arduino Uno에 사용)


👉 이 작은 칩 하나에 CPU + 메모리 + 입출력 기능이 다 들어있어요.
👉 전자시계, 전자레인지, 장난감, 센서제어 등에서 사용됨.

 

 

🧠 MPU (Microprocessor Unit) – 마이크로프로세서

예시: ARM Cortex-A9


👉 계산 능력이 뛰어나고, 외부 메모리와 저장장치가 꼭 필요함.
👉 스마트폰, 태블릿,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에 사용됨.

 

 

🖥️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일반 컴퓨터용 중앙처리장치

예시: Intel Core i7 CPU


👉 컴퓨터나 노트북에서 사용. 연산 능력이 매우 뛰어나지만 단독으로는 동작 못함.
👉 주변 장치(RAM, SSD, 그래픽카드 등)가 꼭 필요함.

 

🔍 정리하면:

구분예시 제품특징
MCU ATmega328P 아두이노에 사용, 저전력, 모든 기능이 칩 하나에
MPU ARM Cortex-A9 계산 능력 우수, 외부 장치 필요, 리눅스 사용 가능
CPU Intel Core i7 고성능 PC용, 복잡한 연산, 외부 장치 꼭 필요

 

 

1.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중앙 처리 장치)

CPU는 컴퓨터의 두뇌와 같습니다. 복잡한 계산,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 실행 등 컴퓨터의 핵심적인 연산을 수행합니다.

  • 특징:
    • 높은 성능과 복잡한 연산 능력
    •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잡한 구조
    • 주로 개인용 컴퓨터(PC), 서버 등에 사용
    • 자체적으로는 메모리나 주변 장치 제어 기능을 포함하지 않아 별도의 칩셋과 함께 사용됩니다.

<center>개인용 컴퓨터에 사용되는 CPU의 예</center>

2. MPU (Microprocessor Unit -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

MPU는 CPU와 매우 유사하지만, 좀 더 넓은 범위를 포괄하는 용어입니다. CPU가 특정 용도의 프로세서를 지칭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MPU는 하나의 칩에 중앙 처리 기능을 통합한 장치를 일반적으로 가리킵니다.

  • 특징:
    • CPU와 유사한 핵심 연산 기능 수행
    • 내장형 시스템, 임베디드 기기, 스마트폰 등 다양한 전자 기기의 두뇌 역할을 합니다.
    • 반드시 고성능을 요구하지 않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 때로는 CPU를 MPU의 한 종류로 보기도 합니다.

<center>임베디드 시스템에 사용되는 MPU의 예</center>

3. MCU (Microcontroller Unit -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

MCU는 하나의 칩에 CPU(또는 프로세서 코어), 메모리(RAM, ROM), 그리고 다양한 주변 장치 제어 기능(GPIO, 타이머, ADC/DAC,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통합한 칩입니다. 작은 컴퓨터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 특징:
    • 저전력, 소형화에 최적화
    • 특정 작업을 제어하는 데 특화 (예: 가전제품, 자동차 전자 장치, 산업 자동화)
    • 별도의 외부 메모리나 주변 장치 없이도 기본적인 동작이 가능
    • 상대적으로 CPU나 MPU에 비해 연산 능력은 낮을 수 있지만, 제어 작업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갖추고 있어 효율적입니다.

아두이노 보드에 사용되는 MCU의 예

간단 요약:

구분핵심 역할특징주요 사용처
CPU 컴퓨터의 두뇌, 복잡한 연산 처리 고성능, 복잡한 구조, 범용적인 작업 수행 PC, 서버
MPU 중앙 처리 기능을 통합한 칩 CPU와 유사, 다양한 전자 기기의 두뇌 역할 임베디드 시스템, 스마트폰
MCU 소형 컴퓨터, 제어 중심 저전력, 주변 장치 통합, 특정 작업 제어 가전제품, 자동차, 산업 자동화

 

 

 

 

[MCU, MPU, CPU의 차이 이해하기]

MCU는 앞서 설명 드린대로 CPU의 기능을 하는 핵심 장치와 그 주변 장치들을 
포함하고 있는 통합형 칩셋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소형(Micro) 칩(Unit) 
하나만으로 LED나 모터와 같은 다른 부품들을 제어(Controller)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MCU(Micro Controller Unit)라는 이름이 부여된 이유이며, 
MCU 칩 하나만으로 주변 장치들을 제어하는 것이 실제로도 가능합니다.

반면에 MPU는 Micro "Processor" Unit의 약자입니다. 
MCU와는 달리 MPU는 컴퓨터의 핵심 기능인 주어진 기계어를 해석하고, 
연산을 수행하는 기능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MPU는 주변에 
RAM, ROM , I/O 등의 장치를 추가해주지 않으면 작동을 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즉, MCU가 하나의 컴퓨터를 소형화 시켜놓은 칩이라면, MPU는 단지 CPU 그 자체만을 
소형화시켜 놓은 칩인 셈입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등에서 사용되는 중앙 처리장치는 
CPU라고 부르고, 전자기기나 산업용 장비에 쓰이는 소형화 된 CPU는 MPU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CPU란 용어는 더 광범위한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MPU나 MCU를 
통틀어 CPU라고 불러도 큰 상관은 없으며, 특히 MPU와 CPU는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MCU와 MPU는 그 의미 차이가 명확하기 때문에 서로 혼동하여 사용하면 곤란합니다. 
쉽게 말해 단일 칩 하나로 기본적인 작동을 할 수 있다면 MCU, 그렇지 않고 주변의 
추가적인 장치를 필요로 한다면 MPU인 것입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5. 18. 02:56
반응형

윈도우 10의 공식 지원 종료일은 2025년 10월 14일입니다. 이날 이후로 윈도우 10은 보안 업데이트, 기능 개선, 기술 지원 등을 더 이상 받지 못하게 됩니다.


🔍 지원 종료 후 영향

  • 보안 위험 증가: 지원 종료 후에는 보안 취약점에 대한 패치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해킹이나 랜섬웨어 공격에 노출될 위험이 커집니다.
  • Microsoft 365 앱 지원 종료: Microsoft는 2025년 10월 14일 이후 윈도우 10에서 Microsoft 365(구 Office) 앱에 대한 지원을 종료합니다. 이 앱들은 계속 작동하겠지만, 성능 저하나 안정성 문제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The Verge
  • 하드웨어 호환성 문제: 윈도우 11은 TPM 2.0, Secure Boot 등 특정 하드웨어 요구 사항이 있어, 일부 구형 PC는 업그레이드가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새로운 PC 구매를 고려해야 할 수 있습니다. The Verge+7The Verge+7The Sun+7

🛡️ 연장 보안 업데이트(ESU)

Microsoft는 지원 종료 후에도 보안 업데이트를 연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 소비자 요금: 연간 $30로 1년간 보안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 The Verge+4The Verge+4The Verge+4
  • 기업 요금: 첫 해 $61, 두 번째 해 $122, 세 번째 해 $244로 최대 3년간 연장 가능합니다. The Verge

이 프로그램은 보안 업데이트만 제공되며, 새로운 기능이나 기술 지원은 포함되지 않습니다.The Verge


🖥️ 권장 사항

  • 업그레이드 고려: 가능한 경우, 윈도우 11로의 업그레이드를 고려하세요. 이는 보안과 최신 기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새로운 PC 구매: 기존 PC가 윈도우 11의 하드웨어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않는다면, 새로운 PC 구매를 고려하세요.
  • 지원 연장 활용: 업그레이드가 어려운 경우, 연장 보안 업데이트 프로그램을 통해 보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지원 종료까지 약 5개월이 남아 있으므로, 미리 계획을 세워 원활한 전환을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5. 15. 02:44
반응형

(사용법 체크 및 수정)----(    )

rufus-4.7----(부팅용USB만들기)

rufus-4.7----(부팅용USB만들기).exe
1.61MB

 

 

Rufus 4.7은 부팅 가능한 USB 드라이브를 만드는 데 사용하는 무료 유틸리티 프로그램입니다. 특히 운영체제 설치용 USB를 만들 때 많이 사용되죠.


✅ Rufus 4.7 주요 용도:

🔹 부팅 가능한 USB 만들기

  • Windows, Linux, Ubuntu, etc. 설치 ISO를 이용해 부팅 가능한 USB 제작

🔹 UEFI/BIOS 호환 지원

  • UEFI 또는 Legacy BIOS 방식 모두 지원 (설정 가능)

🔹 다양한 포맷 옵션

  • USB를 FAT32, NTFS, exFAT 등으로 포맷 가능
  • 파일 시스템 및 파티션 구성 설정 가능

💡 Rufus로 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작업:

작업설명
💽 Windows 설치 USB 만들기 ISO 파일로 부팅 USB 제작 가능
🐧 Linux 부팅 USB 만들기 Ubuntu, Fedora 등 ISO로 제작
🔧 디스크 복구 도구 USB 만들기 Memtest86, Clonezilla 등 사용 가능
📦 DOS 또는 FreeDOS USB 펌웨어 업데이트용 DOS 부팅 디스크 등
 

🔒 Rufus 4.7 특징:

  • 가볍고 설치 없이 실행 가능 (무설치 버전도 있음)
  • ISO 파일 자동 인식 및 최적 설정 추천
  • 빠르고 안정적인 USB 제작 속도

Rufus 4.7을 사용해서 부팅 가능한 USB를 만드는 방법을 아주 쉽게 단계별로 설명드릴게요. 이건 주로 Windows 설치 USB를 만들 때 사용되지만, Linux나 기타 부팅 이미지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 Rufus 4.7으로 부팅 USB 만드는 방법

✅ 준비물

  • USB 메모리 (8GB 이상 권장, 안의 데이터는 모두 삭제됨)
  • 부팅용 ISO 파일 (예: Windows10.iso, Ubuntu.iso 등)
  • Rufus 4.7 다운로드 후 실행

✅ 단계별 설명

1. Rufus 실행

  • 설치 필요 없음, rufus-4.7.exe 더블 클릭해서 실행

2. USB 장치 선택

  • 상단의 "장치"(Device) 항목에서 부팅용으로 만들 USB를 선택
    예: SanDisk 16GB

3. ISO 파일 선택

  • “부트 선택”(Boot selection) → [선택] 버튼 클릭
  • 준비한 ISO 파일 선택 (예: Windows10.iso)

4. 파티션 방식 & 대상 시스템 선택

  • 자동으로 설정되지만, 확인은 해보세요:
설정 항목설명
파티션 방식 대부분은 GPT (UEFI) 선택
구형 PC는 MBR (BIOS 또는 UEFI) 선택
대상 시스템 자동으로 맞춰짐 (UEFI or BIOS)
 

5. 파일 시스템 및 볼륨 레이블 설정 (기본값 사용 OK)

  • 파일 시스템: 보통 FAT32 또는 NTFS 자동 설정됨
  • 볼륨 레이블: USB 이름 (원하는 대로 적어도 됨)

6. [시작] 버튼 클릭

  • 경고창이 뜹니다:
  • 💥 "USB의 모든 데이터가 삭제됩니다."
  • 확인 후 [확인] 클릭

7.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기

  • 진행 막대가 100%가 되면 완료 메시지가 나옵니다:
  • ✅ "READY" 또는 "완료됨"

🎉 이제 USB는 부팅 가능한 상태입니다!

  • 이 USB를 PC에 꽂고 부팅하면, Windows 설치나 Linux 실행 등이 가능합니다.
  • 부팅하려면 BIOS/UEFI에서 USB 부팅을 선택해야 합니다.
반응형

'유틸(U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ImgBurn 프로그램(ISO만드는프로그램) / 유틸  (0) 2025.05.15
공개 유틸 프로그램  (0) 2024.01.01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