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광고1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1. 28. 22:20
반응형

지각 동사 : see, watch, feel, hear

사역 동사 : make, have, let

 

지각, 사역동사 + 목적어 + 동사원형

"I saw him go out"은 한국어로 다음과 같이 번역될 수 있습니다:

나는 그가 나가는 것을 봤다.

이 문장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특정 인물이 집이나 건물에서 나가는 것을 목격했을 때: "나는 그가 집에서 나가는 것을 봤다."
  • 어떤 사람이 모임이나 행사 장소에서 떠나는 것을 봤을 때: "나는 그가 파티에서 나가는 것을 봤다."
  • 누군가가 어떤 일을 하러 나가는 것을 목격했을 때: "나는 그가 운동하러 나가는 것을 봤다."

이 문맥에 따라 "그"는 특정한 사람을 지칭하며, "나가는 것"은 그 사람이 특정한 장소를 떠나는 행동을 의미합니다.

 

 

★ 한국어의 경우,  // saw는 과거인데, go는 현재를 쓰는 이유를 한국어로 쉽게 설명

외우는것 보다 한국어로 이해하고 접근하면 좀 더 쉽게 이해하게 된다.

"나는 그가 나가는 것을 봤다"와

"나는 그가 나갔는 것을 봤다"는 의미상 큰 차이가 없지만,

 

한국어에서도 나갔는(과거)를 쓰면, 이해는 하지만, 문법적으로도 그렇고, 어색하게 들린다.

나가는(현재, go) 으로 어색하지 않듯이, 영어도 이렇게 접근하면 이해가 더 쉽게 느껴진다.

 

 

질문1) saw는 과거인데, go는 왜 현재인가요?

"saw"는 동사 "see"의 과거형으로, 본 사람이 어떤 행동이나 사건을 과거에 목격했음을 나타냅니다. 반면에 "go"는 동사 원형으로, 여기서는 다른 동사(saw)의 목적격 보어 역할을 합니다.

목적격 보어란?

  • 특정 동사(지각동사: see, hear, feel 등) 뒤에 위치하여 목적어의 상태나 행동을 보충 설명하는 역할
  • 목적어와 주어의 관계처럼, 목적격 보어는 목적어를 설명하는 관계
  • "saw him go out"에서 "him"이 목적어, "go out"은 목적격 보어

예시

  • I saw him crossing the street. (나는 그가 길을 건너는 것을 봤다.)
  • I heard her singing a song. (나는 그녀가 노래하는 것을 들었다.)

결론

"saw"는 과거 시점을 나타내지만, "go"는 "saw"의 목적격 보어로 사용되어 그 사람이 나가는 행동을 설명합니다. 즉, 과거에 본 사람이 나가는 행동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질문2) I saw him went out. 은 틀린 문장인가요?

네, "I saw him went out."은 틀린 문장입니다.

이유:

  • 지각동사 + 동사원형: 영어 문법에서 지각동사(see, hear, feel 등) 뒤에는 목적어와 함께 동사원형이 와야 합니다.
  • went는 go의 과거형: "went"는 동사 "go"의 과거형으로, 지각동사 뒤에 사용될 수 없습니다.

올바른 문장:

  • I saw him go out. (나는 그가 나가는 것을 봤다.)

참고:

  • "I saw him going out."은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입니다. 이 문장은 그가 나가는 행동이 진행 중인 것을 강조합니다.

 

질문3) 미국인은 이 문장을 보면 틀린문장인지 아나요?

네, 미국인을 포함한 영어 원어민들은 "I saw him went out" 문장이 문법적으로 틀렸다는 것을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이유:

  • 지각동사 + 동사원형: 영어 문법에서 지각동사(see, hear, feel 등) 뒤에는 목적어와 함께 동사원형이 와야 합니다. "went"는 "go"의 과거형이므로 지각동사 뒤에 사용될 수 없습니다.

원어민의 직관:

  • 영어 원어민들은 문법 규칙을 의식적으로 생각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올바른 문장 구조를 인지합니다. 따라서 "I saw him went out"과 같은 문장을 들으면 어색하거나 부자연스럽다고 느낍니다.

비교:

 

★ 한국어의 경우,

"나는 그가 나가는 것을 봤다"와

"나는 그가 나갔는 것을 봤다"는 의미상 큰 차이가 없지만,

 

영어에서는 "I saw him go out"과 "I saw him went out"의 차이가 훨씬 큽니다. 후자는 문법적으로 명백히 틀린 문장입니다.

 

 

결론:

  • "I saw him went out"은 영어 원어민들에게 어색하고 틀린 문장으로 들립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1. 28. 12:41
반응형

감기와 독감은 둘 다 바이러스가 원인이지만, 증상과 심각도에서 차이가 있어요. 쉽게 설명하자면:

1. 원인

  • 감기: 다양한 바이러스(예: 리노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해요.
  • 독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원인이에요.

2. 증상

  • 감기:
    • 목이 따끔거리고, 콧물이 나거나 코가 막히는 증상이 주로 나타나요.
    • 가벼운 기침과 약간의 열이 있을 수 있지만, 대체로 심하지 않아요.
    • 몸살이나 피로감은 드물어요.
  • 독감:
    • 갑자기 고열(38~40°C)이 나고, 심한 몸살과 피로감을 느껴요.
    • 기침, 두통, 근육통이 심하고, 가슴이나 폐 쪽이 답답할 수도 있어요.
    • 독감은 감기보다 훨씬 더 심하게 아픈 느낌이에요.

3. 심각도

  • 감기: 대부분 저절로 나아요. 증상이 약하고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주지 않아요.
  • 독감: 합병증(폐렴 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위험해요. 특히 어린이, 노인,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는 더 위험하죠.

4. 치료

  • 감기: 따뜻한 물 마시기, 휴식, 대증치료(코막힘 약 등)로 회복이 가능해요.
  • 독감: 항바이러스제나 독감 백신이 필요할 수 있어요. 병원에 갈 필요가 있을 정도로 심한 경우도 많아요.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 감기는 가볍게 지나가는 경우가 많고, 독감은 몸을 심하게 아프게 하고 위험할 수도 있어요.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1. 27. 11:48
반응형

영어에서 "A to B"는 일반적으로 "A에서 B까지" 또는 "A부터 B까지"로 해석됩니다.

해석 순서:

  • 문맥에 따라 유동적: 정확한 해석은 문장 전체의 문맥과 "to"가 사용된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일반적인 경우: 대부분의 경우 "A"에서 시작하여 "B"로 이동하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 다양한 해석 예시:
    • 지리적 위치: "from Seoul to Busan" (서울에서 부산까지)
    • 시간: "from morning to night" (아침부터 밤까지)
    • 변화: "from bad to good" (나쁜 상태에서 좋은 상태로)
    • 범위: "from A to Z" (A부터 Z까지)

"to"의 다양한 의미:

  • 목적지: 어떤 행위나 과정의 최종 목표를 나타냅니다. (e.g., go to school)
  • 범위: 어떤 범위나 한계를 나타냅니다. (e.g., from 1 to 10)
  • 비교: 두 가지 사물이나 상태를 비교할 때 사용됩니다. (e.g., similar to)

더 정확한 해석을 위해 필요한 정보:

  • 문장 전체: 문장의 다른 부분과의 관계를 파악해야 정확한 의미를 알 수 있습니다.
  • "to" 앞뒤 단어: "to" 앞뒤에 어떤 단어가 오는지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문맥: 문장이 사용된 전체적인 상황이나 맥락을 파악해야 합니다.

예시:

  • "I went from Seoul to Busan." (나는 서울에서 부산으로 갔다.)
  • "The temperature will rise from 10 to 20 degrees." (온도가 10도에서 20도까지 상승할 것이다.)
  • "He is similar to his father." (그는 그의 아버지와 비슷하다.)

결론:

"A to B"는 문맥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A에서 B까지" 또는 "A부터 B까지"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문장 전체의 문맥을 고려해야 합니다.

 

 

※ 전치사 "to"는 일반적으로 방향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전치사 중 하나입니다.

"to"의 주요 의미:

  • 목적지: 어떤 행위나 과정의 최종 목표를 가리킵니다. (예: go to school, turn to the left)
  • 범위: 어떤 범위나 한계를 나타냅니다. (예: from 1 to 10)
  • 비교: 두 가지 사물이나 상태를 비교할 때 사용됩니다. (예: similar to)

"A to B"의 해석:

  • 일반적인 해석: "A에서 B까지" 또는 "A부터 B까지"로 해석되어, A라는 시작점에서 B라는 끝점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다양한 예시:
    • 지리적 위치: from Seoul to Busan (서울에서 부산까지)
    • 시간: from morning to night (아침부터 밤까지)
    • 변화: from bad to good (나쁜 상태에서 좋은 상태로)
    • 범위: from A to Z (A부터 Z까지)

"to"의 다양한 활용:

  • 동사와 함께: go to, come to, listen to 등 다양한 동사와 함께 사용되어 목적지를 나타냅니다.
  • 형용사와 함께: similar to, next to 등 형용사와 함께 사용되어 비교나 위치를 나타냅니다.
  • 명사와 함께: a trip to Paris (파리 여행)처럼 명사와 함께 사용되어 목적지를 나타냅니다.

"to"의 해석 시 주의할 점:

  • 문맥: 문장 전체의 문맥에 따라 "to"의 의미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다른 전치사와의 비교: "in", "on", "at" 등 다른 전치사와 비교하여 "to"가 어떤 의미를 나타내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1. 26. 10:40
반응형

to부정사는 영어 문법에서 동사의 원형 앞에 "to"를 붙여 사용하는 형태를 말해요. 보통 명사, 형용사, 부사 역할을 하며 문장에서 다양한 기능을 합니다.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1. 명사적 용법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합니다.

  • 주어: To study English is fun. (영어 공부하는 것은 재미있다.)
  • 목적어: I want to travel. (나는 여행하고 싶다.)
  • 보어: My dream is to become a doctor. (내 꿈은 의사가 되는 것이다.)

2. 형용사적 용법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합니다.

  • I have a lot of homework to do. (나는 할 숙제가 많다.)
  • She is looking for a book to read. (그녀는 읽을 책을 찾고 있다.)

3. 부사적 용법

동사, 형용사, 문장 전체를 꾸며 이유, 목적, 결과 등을 나타냅니다.

  • 목적: I went to the park to play soccer. (나는 축구를 하러 공원에 갔다.)
  • 이유: I’m happy to see you. (너를 봐서 행복해.)
  • 결과: He grew up to be a great musician. (그는 자라서 훌륭한 음악가가 되었다.)

 

● 부정사란?

"부정사"라는 말은 사실 처음 들으면 조금 헷갈릴 수 있어요. 간단히 설명하자면, "부정사"는 문법 용어로 동사의 한 형태를 말해요. 'to + 동사원형'을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여기서 "부정"이라는 말이 들어간 이유는 시제나 주어에 영향을 받지 않는 '확정되지 않은 동사 형태'라는 뜻이에요.

쉽게 말하면:

  • 일반 동사들은 시제(과거, 현재)나 주어에 따라 형태가 바뀌죠. 예: I eat / She eats
  • 그런데 to부정사는 동사의 기본형(원형)에 'to'만 붙여서, 그런 변화 없이 쓰이는 형태예요. 예: to eat, to run, to study

왜 이런 형태를 쓰는 걸까요?

to부정사는 동사의 본래 뜻을 가지고 있지만, 문장에서 특정 역할(명사, 형용사, 부사)로 쓰이기 위해 특별히 변형된 형태라고 보면 돼요.

예시로 보면 더 쉬워요:

  1. I want to play.
    (나는 놀기를 원한다.)
    여기서 to play는 "놀다"라는 뜻이지만, 문장에서 목적어(명사 역할)로 쓰이고 있어요.
  2. She has a lot of work to do.
    (그녀는 해야 할 일이 많다.)
    여기서 to do는 "하다"라는 뜻이지만, "일"이라는 명사를 꾸며주는 형용사 역할을 해요.
  3. He came here to help.
    (그는 돕기 위해 여기 왔다.)
    여기서 to help는 "돕다"라는 뜻이지만, 왜 왔는지 이유를 나타내는 부사 역할이에요.

정리하자면, to부정사는 동사의 뜻을 유지하면서도 문장에서 여러 가지 역할을 하기 위해 만들어진 특별한 형태라고 보면 돼요.

 

 

다시 설명을 쉽게 하면,

==> 여기서 "부정"이라는 말이 들어간 이유는 시제나 주어에 영향을 받지 않는 '확정되지 않은 동사 형태'라는 뜻이에요.

 

여기에서 '확정되지 않은'의 의미는?

"확정되지 않은 동사 형태"라는 말에서 "확정되지 않았다"는 뜻은 시제, 주어,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상태를 말해요.

다시 정리하면:

  1. 시제 정보가 확정되지 않음
    • to부정사는 과거인지, 현재인지, 미래인지 시제를 나타내지 않아요.
      예:
      • to run (달리다) → 언제 달리는지 알 수 없음.
      • 시제는 문장의 동사나 맥락에서 정해짐.
        예:
        • I want to run. (나는 달리고 싶다 → 현재 시제)
        • He wanted to run. (그는 달리고 싶었다 → 과거 시제)
  2. 주어 정보가 확정되지 않음
    • to부정사는 누가 그 동작을 하는지 주어에 대한 정보도 포함하지 않아요.
      예:
      • to eat (먹다) → 누가 먹는지 알 수 없음.
      • 문장 안에서 주어를 통해 의미가 확정됨.
        예:
        • I want to eat. (내가 먹고 싶다.)
        • She wants to eat. (그녀가 먹고 싶다.)
  3. 구체적인 상황 정보가 확정되지 않음
    • to부정사 자체는 장소, 이유, 방법 같은 구체적인 상황 정보를 포함하지 않아요.
      예:
      • to study (공부하다) → 어디서, 왜 공부하는지는 알 수 없음.
      • 문장의 맥락에서 추가적인 정보가 확정됨.
        예:
        • I went to the library to study. (나는 공부하러 도서관에 갔다.)
        • She needs time to study. (그녀는 공부할 시간이 필요하다.)

핵심 요약

"확정되지 않았다"는 것은 to부정사 자체만으로는 시제, 주어, 구체적인 맥락을 알 수 없고, 문장에서 다른 요소에 의해 그 의미가 정해진다는 뜻이에요.

 

 

 

"확정되지 않았다"는 표현은 to부정사가 시제나 주어에 따라 바뀌지 않는 '중립적인' 동사 형태라는 뜻이에요. 조금 더 풀어서 설명해 볼게요! 😊


1. 일반 동사 vs. to부정사

일반 동사는 주어시제에 따라 형태가 달라져요.
예를 들어:

  • 현재형: He runs. (그는 달린다.)
  • 과거형: He ran. (그는 달렸다.)
  • 주어에 따른 변화: I run / She runs

하지만 to부정사는 주어와 시제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동사원형 앞에 to가 붙은 형태"로 사용돼요.
예:

  • to run (달리다)
    이 형태는 시제도, 주어도 확정되지 않은 상태로, 그냥 동사의 기본 의미를 가집니다.

2. 확정되지 않았다는 의미

to부정사 자체는 시제(과거/현재/미래)나 동작을 수행하는 주체(주어)에 대한 정보가 없어요.
즉, 언제, 누가, 어떻게 한다는 구체적인 정보가 없는 상태라고 볼 수 있죠.

예를 들어:

  • to eat (먹다)
    이 자체로는:
    • 누가 먹는지? (I, you, she... 등등)
    • 언제 먹는지? (과거, 현재, 미래)
      이런 정보가 들어 있지 않아요.
      하지만 문장에 들어가면 맥락에 따라 의미가 확정됩니다.

문장에서 확정되는 예:

  • I want to eat. (나는 먹기를 원한다.)
    → 주어는 "나(I)", 시제는 현재.
  • He wanted to eat. (그는 먹기를 원했다.)
    → 주어는 "그(He)", 시제는 과거.

3. to부정사가 "중립적인 형태"로 쓰이는 이유

to부정사는 문장에서 명사, 형용사, 부사 역할을 하기 위해 쓰여요.
이때 동사의 기본 의미만을 유지하면서, "주어와 시제" 같은 세부 사항은 문장의 다른 요소로 확정됩니다.

예:

  • To study is important.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
    → 여기서 "to study"는 "공부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누가 공부하는지는 문장에 없어요.
  • I went there to see him. (나는 그를 보기 위해 거기에 갔다.)
    → 여기서 "to see"는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 역할이고, "누가/언제 봤는지"는 문장에 나오는 주어와 동사를 통해 확정됩니다.

핵심 정리

"확정되지 않았다"는 말은 to부정사 자체가 시제나 주어,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지 않은 기본 상태라는 뜻이에요. 대신, 문장 안에서 다른 요소와 함께 의미가 구체화됩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1. 25. 09:12
반응형

영어에서 부정사(infinitive)는 "to + 동사 원형"으로 이루어진 형태야. 예를 들어, to eat, to run, to learn 같은 거지.

부정사는 문장에서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어:

  1. 명사 역할: 주어, 목적어, 보어로 사용됨
    • To study is important.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 → 주어
    • I want to sleep. (나는 자고 싶다.) → 목적어
  2. 형용사 역할: 명사를 꾸며줌
    • She has a lot of work to do. (그녀는 해야 할 일이 많다.)
  3. 부사 역할: 동사, 형용사, 다른 부사를 꾸며줌
    • I came here to help you. (나는 너를 도우러 여기 왔다.)

쉽게 말하면, 부정사는 동사를 기본형으로 사용해서 "무엇을 하기 위해" 또는 "무엇을 하는 것"처럼 말하고 싶을 때 사용

 

 

 

보통 영어에서 "to + 동사원형"이 가장 일반적인 부정사 형태로 알려져 있지만, 꼭 그것만 부정사라고 하지는 않아.

1. to 부정사

이게 우리가 흔히 아는 형태야:

  • to eat, to play, to study

2. bare infinitive (to 없이 동사 원형)

특정 상황에서는 to 없이 동사 원형만 나오는 경우도 있어. 예를 들어:

  • He made me cry. (그가 나를 울게 했다.)
  • I saw her dance. (나는 그녀가 춤추는 것을 봤다.)

이렇게 make, let, see, hear 같은 동사 뒤에서는 bare infinitive(to 없는 부정사)가 사용돼.


그래서 정리하자면:

  • to + 동사원형: 가장 흔한 부정사
  • 동사원형만 쓰이는 경우: 특정 동사 뒤에서 사용되는 부정사

둘 다 부정사의 범주에 들어가니까 "to만 있어야 부정사"라고 생각하지 않아도 됩니다.

 

 

to 없이 동사원형을 사용하는 부정사(bare infinitive)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줄게.

이 형태는 특정 동사나 표현 뒤에서 사용되며, 아래와 같은 경우에 자주 나타나.


1. 사역동사(make, let, have)

사역동사 뒤에서는 to 없이 동사원형을 써.

  • make: ~하게 하다
    • He made me cry. (그는 나를 울게 했다.)
    • The teacher made us write an essay. (선생님이 우리에게 에세이를 쓰게 했다.)
  • let: ~하도록 허락하다
    • She let me borrow her book. (그녀는 내가 그녀의 책을 빌리도록 허락했다.)
    • Let him go. (그를 가게 해.)
  • have: ~하게 하다 (보통 일이나 요청에 사용)
    • I had him fix my car. (나는 그에게 내 차를 고치게 했다.)
    • She had her assistant schedule the meeting. (그녀는 비서에게 회의를 잡게 했다.)

2. 지각동사(see, hear, watch, feel 등)

지각동사 뒤에서는 to 없이 동사원형을 써서 누군가가 하는 동작을 직접 관찰하거나 듣는 상황을 표현해.

  • I saw her dance at the party. (나는 그녀가 파티에서 춤추는 것을 보았다.)
  • We heard the baby cry. (우리는 아기가 우는 소리를 들었다.)
  • She watched him leave the house. (그녀는 그가 집을 떠나는 것을 지켜보았다.)

3. help

help 뒤에서는 to 부정사bare infinitive 둘 다 가능하지만, 보통 bare infinitive를 많이 사용해.

  • She helped me finish my homework. (그녀는 내가 숙제를 끝내는 것을 도왔다.)
  • Can you help me carry this box? (이 상자를 나르는 걸 도와줄래?)

4. 조동사(modal verbs)

조동사 뒤에서는 항상 bare infinitive를 사용해.

  • I can swim. (나는 수영할 수 있다.)
  • You should study harder. (너는 더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
  • He might be late. (그는 늦을지도 모른다.)

요약

  • 사역동사: make, let, have
  • 지각동사: see, hear, watch, feel
  • 조동사: can, will, shall, may, must 등
  • help: to 없이도 가능

 

● 부정사는 영어 문장에서 다양한 역할을 하는 아주 유용한 문법 요소예요. 쉽게 말해, 동사의 원형에 'to'를 붙인 형태를 부정사라고 합니다.

예시: to go (가다), to eat (먹다), to study (공부하다)

부정사의 특징

  • 동사의 성격과 명사, 형용사, 부사의 성격을 모두 가지고 있어요.
  •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형용사, 부사 등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어요.

부정사가 하는 일

  • 목적을 나타낼 때: I want to study English. (나는 영어를 공부하고 싶다.)
  • 이유를 나타낼 때: He came to see me. (그는 나를 보기 위해 왔다.)
  • 방법을 나타낼 때: She tried to solve the problem. (그녀는 그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했다.)
  • 시간을 나타낼 때: It's time to go. (갈 시간이다.)
  • 장소를 나타낼 때: This is a good place to study. (여기는 공부하기 좋은 곳이다.)

부정사의 종류

  • to 부정사: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to + 동사 원형'으로 이루어져요.
  • 원형 부정사: 'to' 없이 동사 원형만 사용하는 경우로, 특정 동사 (let, make, help 등) 뒤에 오거나, 명령문에서 주로 쓰여요.

부정사 활용 예시

  • 주어: To err is human. (실수는 인지상사이다.)
  • 목적어: I want to go home. (나는 집에 가고 싶다.)
  • 보어: My dream is to become a doctor. (나의 꿈은 의사가 되는 것이다.)
  • 형용사: She is eager to learn. (그녀는 배우기를 열망한다.)
  • 부사: I came here to see you. (나는 당신을 보기 위해 여기에 왔다.)

정리

부정사는 영어 문장에서 다양한 역할을 하면서 문장을 풍부하게 만들어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부정사의 기본적인 개념과 다양한 용법을 익히면 영어 문장을 더욱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만들 수 있을 거예요.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1. 23. 22:20
반응형

영어의 시제는 한국어와 조금 다르게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헷갈릴 수 있는데요, 특히 과거와 과거완료는 자주 혼동하는 부분입니다.

과거 시제 (Simple Past)

  • 기본 의미: 과거의 어떤 시점에 일어난 사건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 한국어 해석: ~했다, ~했었다 (단순히 과거에 발생한 사실을 강조할 때)
  • 예시:
    • I ate an apple yesterday. (어제 사과를 먹었다.)
    • She went to school. (그녀는 학교에 갔다.)

과거완료 시제 (Past Perfect)

  • 기본 의미: 과거의 특정 시점보다 더 이전에 발생한 일을 나타냅니다. 즉, 과거의 과거를 나타내는 시제입니다.
  • 한국어 해석: ~했었다 (어떤 과거의 사건보다 먼저 발생했음을 강조할 때)
  • 예시:
    • When I arrived at the party, they had already eaten dinner. (내가 파티에 도착했을 때, 그들은 이미 저녁을 먹었었다.)
      • 여기서 '저녁을 먹었다'는 것이 '내가 파티에 도착했다'는 것보다 먼저 일어난 일이므로 과거완료를 사용합니다.
    • She had finished her homework before she went out. (그녀는 외출하기 전에 숙제를 이미 끝냈었다.)

 

 

두 시제의 차이점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한 비교 예시:

 

시제 예시 문장 한국어 해석 설명
과거 I lost my wallet yesterday. 어제 지갑을 잃어버렸다. 단순히 어제 지갑을 잃어버린 사실을 나타냅니다.
과거완료 I realized that I had lost my wallet when I got home. 집에 와서야 지갑을 잃어버렸다는 것을 알았다. 집에 왔다'는 것보다 '지갑을 잃어버렸다'는 것이 먼저 발생한 일이므로 과거완료를 사용합니다.

 

 

정리

  • 과거 시제: 단순히 과거에 발생한 사건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 과거완료 시제: 과거의 특정 시점보다 더 이전에 발생한 일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두 개의 과거 사건 중 어떤 사건이 먼저 발생했는지 나타낼 때 주로 사용됩니다.

팁:

  • 과거완료는 주로 'by the time', 'before', 'after'와 같은 부사절 접속사와 함께 사용됩니다.
  • 문맥을 잘 파악하여 두 시제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1. 22. 09:37
반응형

벼락과 번개는 같은 현상의 두 가지 다른 표현이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 번개:

  • 하늘에서 구름 사이, 또는 구름과 지표 사이에서 발생하는 강한 전기 방전 현상을 말합니다.
  • 빛나는 섬광이나 전기 스파크를 주로 가리키며, 시각적인 부분에 초점을 둡니다.

번개

 

 

● 벼락:

  • 번개와 함께 발생하는 소리(천둥)와 파괴적인 충격을 포함하여, 보다 강렬하고 구체적인 현상을 나타냅니다.
  • 특히 지면에 직접 떨어지는 번개를 강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일상적으로는 "벼락 맞다"라는 표현처럼 강력하고 갑작스러운 충격을 비유적으로 쓰기도 합니다.

요약하자면, 번개는 전기적 섬광 그 자체를 주로 의미하고, 벼락은 그로 인한 소리나 충격까지 포함한 강한 현상을 지칭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벼락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1. 17. 11:12
반응형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란다.

 

뜻 : 자신의 큰 허물은 못 보면서 남의 작은 허물만 탓한다.

 

여기서 '' 의 의미는?

 

''  ☞  벼, 보리, 조 다위의 곡식을 찧어서 벗겨 낸 껍질

풀이)

 

옛날에는 개들이 길가에 떨어진 똥이나 겨, 음식물들을 주워먹고 다녔는데요.

 

→  똥 먹은 개가 자기 입에 똥 묻은 건 모르고,

     겨 묻은 개한테 더럽다고 흉을 본다는 속담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