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광고1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5. 13. 07:37
반응형

"ChatGPT"는 이 챗봇의 이름이고, "OpenAI"는 이 챗봇을 만든 회사의 이름이에요.

이름을 나눠서 보면:

  • ChatGPT: "Chat"은 대화, "GPT"는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의 줄임말이에요. 즉, 대화를 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이란 뜻이에요.
  • OpenAI: 이 기술을 만든 회사 이름이에요. "Open"은 원래 이 회사가 인공지능 기술을 공개하고 공유하겠다는 뜻에서 붙였고, "AI"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말해요.

그래서 ChatGPT는 OpenAI가 만든 대화형 인공지능이라고 하는 거예요.

 

이름은 "OpenAI", 즉 공개(Open) 를 내세우지만, 요즘은 GPT 모델의 소스 코드나 학습 데이터, 모델 파라미터를 공개하지 않고 있어요.

원래는 진짜로 "오픈"이었어요

  • OpenAI는 2015년에 설립됐고, 처음엔 인공지능을 모두에게 이롭게 만들자는 철학으로, 연구 성과나 코드 등을 많이 공개했어요.
  • 예: 2018년 GPT-1, 2019년 GPT-2는 소스 코드와 모델까지 모두 공개했어요 (GPT-2는 처음엔 일부만 공개, 후에 전체 공개).

하지만 지금은 "폐쇄적"이에요

  • GPT-3부터는 소스 코드, 모델 구조, 학습 데이터 등은 비공개예요.
  •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어요:
    1. 악용 가능성: 너무 강력해서 피싱, 가짜뉴스, 자동 해킹 등에 쓸 수 있다는 우려.
    2. 경쟁 문제: 다른 기업들(예: Google, Meta 등)과 경쟁해야 하므로 기술을 보호할 필요.
    3. 상업화: 이제는 비영리에서 벗어나 수익도 내야 하므로, 오픈보다 API 판매 중심으로 변화.

그럼 이름은 왜 계속 "OpenAI"일까?

사람들 사이에서도 이건 비판의 대상이에요.
"OpenAI가 더 이상 Open하지 않다"는 비판은 AI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자주 나옵니다.

요약하면:

OpenAI는 처음엔 진짜 '오픈'이었지만, 지금은 상업적·보안적 이유로 GPT 관련 핵심 기술은 공개하지 않아요.

 

 

"open"이라는 말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고, 꼭 소스 코드 공개만을 의미하지는 않아요. 하지만 대부분 기술 업계에서는 "open"이 붙으면 일반적으로 아래처럼 이해됩니다:


💡 보통 "Open"이라고 하면 사람들이 기대하는 것:

표현기대되는 의미
오픈소스(Open Source) 소스코드 공개 + 자유롭게 사용, 수정, 배포 가능
오픈 액세스(Open Access) 논문이나 지식 자료를 무료로 누구나 열람 가능
오픈 데이터(Open Data) 데이터를 누구나 접근, 분석, 공유 가능
오픈 플랫폼(Open Platform) 외부 개발자나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접근하고 개발할 수 있는 시스템
 

✅ OpenAI의 "Open"은 지금은 이런 의미에 더 가까워요:

"AI 기술을 전 세계 모두에게 이롭게 사용하자"는 철학적 공유의 의미
(= 철학적 오픈, 하지만 기술적 오픈은 아님)

즉,

  • "우리가 만든 걸 전부 줄게!" → ❌
  • "우리가 만든 걸 공정하게, 안전하게 공유하려 노력할게!" → ⭕

🚨 그래서 혼동도 많아요

  • 이름만 보고 "코드 다 공개하나 보다!"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지만, 지금은 상업화된 기술 회사이고,
  • 실제로는 GPT 모델 코드, 학습 데이터 등은 비공개예요.

결론

지금의 OpenAI에서 "Open"은 소스코드 공개보다는 '가치 공유'나 '윤리적 접근'의 의미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어요.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5. 13. 04:11
반응형

Windows 11 PE(Preinstallation Environment) 버전의 경우, 일반 Windows처럼 GUI로 명확하게 버전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명령어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확인 방법 (CMD 명령어 사용)

Windows PE 부팅 후 **명령 프롬프트(cmd)**를 실행하여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cmd
복사편집
ver

또는

cmd
복사편집
winver

또는 좀 더 상세한 정보를 원할 경우:

cmd
복사편집
systeminfo

또는 PE용임을 포함한 버전 확인은 다음으로도 가능합니다:

cmd
복사편집
reg query "HKLM\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

이 명령은 레지스트리에서 현재 Windows PE가 기반한 Windows의 빌드 및 버전 정보를 보여줍니다.


추가 팁:

  • PE는 일반 Windows처럼 설정 > 시스템 > 정보 같은 GUI 경로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 PE가 10 기반인지 11 기반인지 판단하려면 위 명령어 결과에서 "CurrentVersion", "CurrentBuild", "ProductName" 등을 확인하면 됩니다. 예:
    • 10.0.22621 → Windows 11 22H2 기반
    • 10.0.22000 → Windows 11 초기 버전

 

참고)

cmd > systeminfo에서 PE용인지 확인 관련 내용

 

systeminfo 명령어에서는 해당 시스템이 Windows PE(Preinstallation Environment)인지 여부를 직접적으로 표시해주지 않습니다.
systeminfo는 주로 CPU, 메모리, 설치 날짜, OS 이름 등을 보여줄 뿐, "이건 PE입니다"라는 식의 항목은 없습니다.


✅ Windows PE 여부를 확인하는 더 정확한 방법

cmd에서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세요:

cmd
복사편집
reg query HKLM\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MiniNT
  • 이 레지스트리 키 MiniNT가 존재하면 → 현재 실행 중인 환경이 Windows PE입니다.

또는 아래 명령도 가능:

cmd
복사편집
reg query HKLM\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PEEnvironment
  • PEEnvironment가 1이면 → PE 환경입니다.

간단히 정리하면:

방법PE 여부 확인 가능 여부비고
systeminfo ❌ 불가능 일반 시스템 정보만 표시
reg query HKLM\...\MiniNT ✅ 가능 존재하면 PE 환경
reg query HKLM\...\PEEnvironment ✅ 가능 값이 1이면 PE 환경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posted by 초코생크림빵 2025. 5. 13. 02:00
반응형

전치사 "to"는 영어에서 아주 자주 쓰이는 말이고, 여러 의미로 쓰일 수 있지만, 핵심은 "방향"이나 "목적지"를 나타낸다는 점이에요. 아래에 해석 순서와 여러 예제를 통해 쉽게 설명드릴게요.


🔹 1. "to"의 기본 개념: ~로, ~에게, ~까지

  • "to"는 방향성이 있는 말이에요. 어떤 것이 어디로 가는지, 누구에게 향하는지를 알려줘요.

🔹 2. 해석 순서 (기본형)

문장에서 "to"를 보면:

누가(주어) + 무엇을 하다(동사) + 어디로/누구에게(to + 명사/동사원형)

예시를 통해 보겠습니다:


🔹 3. 예제와 해석

✅ 1) 방향을 나타낼 때: "어디로 가다"

  • I go to school.
    → 나는 학교에 간다.
    👉 "to school"은 "학교로"라는 방향을 나타냅니다.
  • She walked to the park.
    → 그녀는 공원까지 걸었다.

✅ 2) 사람에게 향할 때: "누구에게"

  • I gave the book to him.
    → 나는 그에게 책을 줬다.
    👉 "to him" = 그 사람에게 (책이 그 사람 쪽으로 간다는 방향)

✅ 3) 동작의 목적을 나타낼 때: "to + 동사원형" = ~하기 위해

  • I study hard to pass the exam.
    → 나는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 열심히 공부한다.
    👉 "to pass"는 목적(why)을 말해줘요.
  • She ran to catch the bus.
    → 그녀는 버스를 잡기 위해 뛰었다.

✅ 4) 감정이나 반응의 대상일 때

  • He is kind to animals.
    → 그는 동물들에게 친절하다.
  • That was rude to me.
    → 그건 나에게 무례했다.

🔹 4. 주요 패턴 요약

패턴의미예문
go/walk/drive + to 장소 ~로 가다 I went to the store.
give/say/send + to 사람 ~에게 주다/말하다/보내다 She gave it to me.
to + 동사원형 ~하기 위해(목적) He studies to improve his skills.
형용사 + to 사람/대상 ~에게 (감정, 태도 표현) She was nice to him.
 

🔸 팁: "to"는 항상 '어디론가 향하는 느낌' 이 있어요!

  • "to"가 있으면 방향, 전달, 목표를 생각해보세요.
  • 반대로 "from"은 출발점이에요.
  • 예: "I came from school." (나는 학교에서 왔다)

 

참고)

“A to B” 구조는 매우 많이 쓰이는 표현인데, 해석 순서와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요.


✅ “A to B” 해석 순서

🔹 해석 순서:

A에서 B로

→ 이 표현에서 중요한 것은 "to"가 방향을 나타낸다는 것!
즉, A → B무언가가 이동하거나 변화하고 있다는 뜻이에요.


✅ 예문과 함께 보기

1. I moved from Seoul to Busan.

→ 나는 서울에서 부산으로 이사했다.
👉 A = Seoul, B = Busan
👉 A to B = A에서 B로


2. This train goes from London to Paris.

→ 이 기차는 런던에서 파리로 간다.


3. The temperature dropped from 30°C to 10°C.

→ 온도가 30도에서 10도로 떨어졌다.
👉 A = 30°C, B = 10°C


4. Translate this sentence from English to Korean.

→ 이 문장을 영어에서 한국어로 번역하세요.


✅ 핵심 요약

형태해석 순서의미
A to B A에서 B로 방향, 이동, 변화
 

"to"는 항상 'B쪽으로 향하는 느낌'을 가지고 있다는 걸 기억하세요!

 

 

참고2)

해석은 A에서 B로 해야 하는데, 그 부분에 관한 내용

 

“I go to school.”은 영어로는 A → B인데,
한국어로는 보통 “나는 학교로 간다”처럼 B부터 A 순서로 해석돼요.

이건 영어와 한국어 문장 구조의 차이 때문이에요.


✅ 영어 해석 순서 vs 한국어 해석 순서

영어 문장 (원래 순서)

I (주어) → go (동사) → to school (방향/목적지)

한국어로 자연스럽게 바꾸면

to school (어디로) → I go (내가 간다)
→ “나는 학교로 간다.”

즉, 의미상 A → B지만,
해석은 B부터 A 순서로 자연스럽게 하게 돼요.


✅ 왜 이런 일이 생길까?

한국어는 목적지나 방향(어디로)를 먼저 말해주는 어순이 자연스럽기 때문이에요.

  • 영어: I go to school. (주어 → 동사 → 목적지)
  • 한국어: 나는 학교로 간다. (목적지 → 동사)

그래서 to 이하를 먼저 해석하게 되는 거예요.


✅ 정리

요소영어한국어 해석
주어 I 나는
동사 go 간다
to + 장소 to school 학교로 (→ 먼저 해석됨)
 

👉 해석은 B에서 A로,
하지만 의미는 A에서 B로!

 

 

✅ 1. She goes to the market.

  • 🔹 영어 어순: She (주어) + goes (동사) + to the market (목적지)
  • 🔹 한국어 해석: 그녀는 시장에 간다.
  • 🔹 설명:
    → 영어는 그녀 → 간다 → 시장으로,
    → 한국어는 자연스럽게 시장에 → 간다 → 그녀는 순서로 바뀜.

✅ 2. We walked to the station.

  • 🔹 영어 어순: We + walked + to the station
  • 🔹 한국어 해석: 우리는 역까지 걸어갔다.
  • 🔹 설명:
    → “to the station”이 먼저 해석됨 (B에서 A 느낌)

✅ 3. He sent a message to his friend.

  • 🔹 영어 어순: He + sent + a message + to his friend
  • 🔹 한국어 해석: 그는 친구에게 메시지를 보냈다.
  • 🔹 설명:
    → “to his friend”이 먼저 해석되어야 자연스러움 (누구에게 → 무엇을 보냈다)

✅ 4. I gave the ball to the dog.

  • 🔹 영어 어순: I + gave + the ball + to the dog
  • 🔹 한국어 해석: 나는 개에게 공을 주었다.
  • 🔹 설명:
    to the dog가 먼저 해석됨 → 누가 받았는지를 먼저 알려줌

✅ 5. They are listening to music.

  • 🔹 영어 어순: They + are listening + to music
  • 🔹 한국어 해석: 그들은 음악을 듣고 있다.
  • 🔹 설명:
    → “to music”이 ‘무엇을 듣고 있는가’의 대상이므로 먼저 해석

✅ 요약표

영어 문장해석 (한국어 순서)핵심 해석 포인트
She goes to the market. 그녀는 시장에 간다. to + 장소 먼저
We walked to the station. 우리는 역까지 걸었다. to + 장소 먼저
He sent a message to his friend. 그는 친구에게 메시지를 보냈다. to + 사람 먼저
I gave the ball to the dog. 나는 개에게 공을 줬다. to + 대상 먼저
They are listening to music. 그들은 음악을 듣고 있다. to + 듣는 대상
반응형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