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9. 05:19
반응형
"메모리 주소 방식"은 쉽게 말하면,
컴퓨터가 데이터를 어디에 저장했는지 기억하고 찾아가는 방법이에요.
📌 메모리 주소란?
- 메모리는 수많은 작은 저장칸(셀)으로 나눠져 있어요.
- 각 셀에는 번호가 붙어 있어요 → 그 번호가 바로 "주소(Address)"예요.
🔢 예시:
주소값(데이터)
1000 | 5 |
1001 | 10 |
1002 | 255 |
위 표에서:
- 1000번 주소에는 숫자 5가 있고,
- 1001번에는 10이 있어요.
- 컴퓨터는 이 주소를 이용해 데이터를 찾고, 수정하고, 저장해요.
📚 메모리 주소 방식의 종류
컴퓨터는 데이터를 가져올 때 여러 방식으로 주소를 쓸 수 있어요. 대표적으로는:
방식설명예시
직접 주소 방식 | 주소가 명확하게 정해짐 | 주소 1000에 있는 값을 써! |
간접 주소 방식 | 주소 안에 또 다른 주소가 있음 | 주소 1000에 있는 주소를 보고 거기 가서 값을 써! |
상대 주소 방식 | 현재 위치 + 얼마만큼 떨어진 곳 | 지금 위치에서 +5칸 더 간 곳의 값 써! |
인덱스 주소 방식 | 기본 주소 + 인덱스 값 | 배열이나 반복에서 자주 사용 |
🧠 쉽게 비유하면:
- 주소 = 집 주소
- 값 = 집 안에 있는 물건
- 컴퓨터는 주소를 보고 그 집에 가서 필요한 물건(값)을 꺼내오는 거예요!
🎯 요약:
- 메모리 주소 방식은 데이터를 어디에서 어떻게 찾을지 알려주는 방법이에요.
- 여러 방식이 있지만, 공통적으로는 주소를 이용해 데이터를 처리해요.
반응형
'컴퓨터 잡다학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 / APT란? (설명1) (0) | 2025.04.14 |
---|---|
인덱스 방식이 배열에서 왜 중요한가요? (메모리 주소 방식의 종류) (0) | 2025.04.09 |
데이터(Data), 정보(Information)의 정리 (0) | 2025.04.09 |
버퍼(Buffer)와 스풀(Spool)의 위치 (0) | 2025.04.09 |
버퍼(Buffer) 처리방식에 대한 메모 (0) | 2025.04.09 |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