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9. 04:50
반응형
버퍼(Buffer)는 데이터를 잠깐 저장해두는 임시 저장소예요.
버퍼가 어떤 방식(FIFO, LIFO 등)으로 동작하는지는 어디에 쓰이느냐에 따라 달라요.
일반적으로 버퍼는 어떤 방식?
✅ 대부분의 경우 → FIFO 방식을 사용해요.
왜냐하면:
- 데이터를 받은 순서대로 처리해야 문제가 없기 때문이에요.
예: 영상 스트리밍, 오디오 재생, 네트워크 데이터 전송 등
예를 들어 설명할게요:
- 유튜브에서 영상을 재생할 때,
- 영상 데이터가 조금씩 버퍼에 저장돼요.
- 저장된 순서대로 재생돼야 자연스럽게 보여요. → 그래서 FIFO(First In, First Out) 방식이 필요해요.
그런데 꼭 FIFO만 쓰나요?
❗ 아니요. 상황에 따라 다른 방식도 써요:
방식설명예시
FIFO | 먼저 들어온 데이터 먼저 나감 | 스트리밍, 프린트 대기 |
LIFO | 나중에 들어온 데이터 먼저 나감 | 일부 스택 버퍼 (드물지만 존재) |
우선순위 방식 | 중요한 데이터 먼저 처리 | 실시간 시스템, 멀티태스킹 OS |
요약:
- 버퍼도 보통 FIFO입니다.
- 하지만 쓰임새에 따라 방식이 달라질 수 있어요!
★ FIFO, LIFO 같은 용어들은 "자료를 꺼내는 순서(처리 방식)"를 설명하는 것이지, 꼭 메모리 자체의 입출력 방식만을 말하는 건 아니에요.
FIFO, LIFO는 자료 구조(데이터 구조)에서의 "처리 순서 방식"이에요.
용어 | 풀네임 | 의미 | 예시 |
FIFO | First In, First Out |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나감 | 큐(Queue), 프린터 작업, 스트리밍 |
LIFO | Last In, First Out | 나중에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나감 | 스택(Stack), 되돌리기 기능 |
📍 메모리 입출력 방식이랑은 어떤 관계?
- 메모리 자체는 보통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방식이에요.
→ 원하는 주소에 바로 접근할 수 있어요. - 하지만 메모리 안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이 FIFO, LIFO처럼 동작할 수 있어요.
즉, 메모리가 FIFO 방식으로 작동한다기보다는,
그 위에서 운영되는 프로그램이나 버퍼, 큐 구조가 FIFO/LIFO로 처리되는 거예요.
🎯 예시로 보면:
- CPU가 메모리에 데이터를 넣고 뺄 때,
- 일반 메모리 접근은 특정 순서 없이 (랜덤)
- 하지만 버퍼처럼 "처리 순서가 중요한 구조"에서는 FIFO가 쓰임
- 또는 함수 호출 스택처럼 LIFO가 필요할 땐 그렇게 동작
💬 한 줄 요약:
FIFO/LIFO는 **자료 처리 방식(구조)**이고,
메모리 입출력은 보통 랜덤 액세스지만,
그 안의 특정 작업에서는 FIFO/LIFO 방식이 사용될 수 있어요!
반응형
'컴퓨터 잡다학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Data), 정보(Information)의 정리 (0) | 2025.04.09 |
---|---|
버퍼(Buffer)와 스풀(Spool)의 위치 (0) | 2025.04.09 |
브이로그(Vlog), 비디오(Video)와 블로그(Blog) (1) | 2025.04.07 |
데이터베이 (DataBase, DB) (1) | 2025.04.07 |
버퍼(Buffer)와 스플(Spool) 관련 메모 (0) | 2025.04.04 |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